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공부자탄신일(孔夫子誕辰日) 소감

입력
2021.09.27 19:00
25면
0 0
박성진
박성진서울여대 중문과 교수
중국 당나라시대 화가 오도자가 그린 공자 초상화

중국 당나라시대 화가 오도자가 그린 공자 초상화


오늘은 ‘공부자탄신일’이다. ‘부자’는 ‘자’와 같은 말로 선생님이라는 뜻이다. ‘공부자’의 중국 발음에서 ‘Confucius’라는 ‘공자’의 서양식 이름 표기가 나왔다. 공자의 가르침인 유교는 ‘Confucianism’인데, 불교를 ‘Buddhism’이라고 하는 작명법과 같다.

당사자는 부탁도 안 했는데 중국 역대 황제들과 조선 임금들은 공자 제사, ‘석전(釋奠)’을 매년 지냈다. 지금도 ‘석전’은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1년에 두 번 나랏돈으로 치른다. 무릇 받드는 사람이 있으면 욕하는 사람도 있는 법. 1999년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책이 나오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유명세를 탄 저자가 ‘사서삼경’ 읽으라는 후속작을 내서 씁쓸했던 기억이 난다.

기실, 고려 말까지 공자는 존재감이 없었다. 안향(安珦, 1243~1306)은 ‘유감(有感)’에서 이렇게 말한다. “향불 밝힌 곳마다 부처에게 기원하고, 집마다 요란하게 귀신을 모시네. 겨우 두어 칸 공자님 사당, 뜰에는 사람 없고 봄 풀만 무성(香燈處處皆祈佛 簫管家家盡事神 獨有數間夫子廟 滿庭春草寂無人)”

고려의 일상에서 공자와 유교의 위상은 이처럼 미미했다. 그러나 주희(1130~1200)의 학문, 즉 주자학의 수입과 더불어 천지가 개벽한다. 주자학의 토대는 ‘사서(四書: 논어, 맹자, 대학, 중용)’였고, 사서를 해설한 주희의 ‘사서집주(四書集注)’는 혁명 같은 반향을 일으켰다. 주희는 ‘성(性)’과 ‘리(理)’를 강조했기에 ‘성리학’ 또는 ‘리학’이라고도 한다.

사서집주 덕분에 사서도 몸값이 올라갔다. 쟁쟁했던 유학자 정도전(1342~1398)도 25세에 맹자를 읽었을 정도인데, 그렇게 늦은 이유는 그제야 사서가 중시됐기 때문이다. 기실 사서는 모두 공자 사후에 나온 책이다. 실제 공자의 텍스트는 ‘오경(五經: 주역, 시경, 상서, 예기, 춘추)’으로, 공자 생전 교재의 모본이다. 한무제(B.C.141~87)가 유교를 국교로 삼을 때도 당연히 오경이 중심이었기에 ‘오경박사’가 생겼다.

우리도 이미 백제에 오경박사가 있었는데 고려 말부터 사서가 오경을 대체한다. 따라서 조선 유교는 ‘주희의 유교’였지 ‘공자의 유교’라고 보기는 힘들다. 또 순자, 동중서, 왕양명의 유교도 있었건만 조선왕조는 주희 말고는 모두 이단시했다.

주희의 학설은 앞 시대 경전 풀이와 얼마나 다른가. 지면상 ‘논어’의 첫 구절,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만 보자. ‘학’의 속뜻은 주희 말대로 ‘본받다(效)’인가? 한나라 학자들 풀이대로 ‘깨닫다(覺)’인가? 대부분 ‘배우다’라고 풀지만, 부지불식간 주희 해석을 따른 것이다.

공자 생졸년(B.C.551~479)을 기준점으로, 한나라(B.C.202~A.D.220)와 주희가 살던 남송(1127~1279)을 견주어 보자. 객관적으로 어느 나라 사람이 공자 말을 더 잘 알아듣겠는가.

맹자(B.C.372~289)와 순자(B.C.298~238) 모두 유가(儒家)지만, 공자 그림자도 못 봤다는 점에서는 도긴개긴이다. 그런데 주희가 ‘사서집주’를 낸 뒤로 ‘순자’는 서자 취급을 받았다. 타당한가.

윤휴(1617~1680) 선생이 조선 지배층의 주자학 광기를 질타하셨다. “어찌 주자만이 공자의 뜻을 알겠는가.” 반응은 쇠귀에 경 읽기, 결과는 민생 파탄이었다.

중국과 일본도 유교식 관료제를 채택했으나 사회와 경제의 모습은 조선과 판이했다. 같은 유교에서 제국도 나오고 식민지도 나왔다. 공자 탓은 부질없다. 참, 생신 축하드립니다! 공자님.

박성진 서울여대 중문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