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금리 올려도 성장세 타격은 제한적
이미 인상 사이클 타"... 추가 인상 시사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집값 상승률이 0.25%포인트 둔화 된다는 분석을 내놨다. 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전반적으로 과열된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이들 가격의 거품을 꺼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이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조만간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은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9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이 과거 기준금리 인상기 경제 지표 등을 분석한 결과,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경우 가계부채 증가율과 주택가격 상승률은 1년 동안 각각 0.4%포인트, 0.25%포인트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 주체들의 차입 비용을 늘리는 탓에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경우 경제성장률은 0.1%포인트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한은은 실물경제 여건이 양호한 만큼 금리 인상이 성장률을 짓누를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봤다. 지금과 같은 경기회복 국면에선 경제주체들이 소비와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커 실물경제 긴축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뜻이다.
대신 1,800조 원(2분기 기준)에 달하는 가계빚 규모를 고려할 때 금리 인상이 금융불균형 해소에는 기여하는 부분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그간 누적된 금융불균형이 대내외 충격에 대한 우리 경제의 취약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해온 만큼, 기준금리 인상은 이런 확률을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고삐 풀린 가계부채와 과열된 자산가격은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점치게 하는 요소로 꼽힌다. 실제 지난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5%로 국제결제은행(BIS) 조사대상국 43개국 중 캐나다, 덴마크 등에 이어 6번째로 높았다. 소득은 제자리걸음인데 집값은 고공 행진한 결과 2분기 서울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KB국민은행 기준)'은 18.5배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날 보고서 관련 설명회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도 나왔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지난 8월 한 차례 인상을 시작으로 금리가 인상 사이클로 들어간 건 사실"이라며 "(금융당국의)거시건전성 정책도 함께 가야 하지만, 금리 인상을 했을 때 가계부채를 완화하는 데 분명 효과는 있다"고 말했다. 다만 "추가 인상 시기는 향후 경제 및 금융 안정 상황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