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
이주열 "금융불균형 해소에 앞으로 역점"
“가계부채 증가세와 주택가격 오름세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6일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 올린 금융통화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 이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경기 개선에 맞춰 금리를 정상화해나가겠다”고 밝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다만 이 총재는 이번 금리 인상이 “국내 소비·투자 기조에 악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의 일문일답.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대출 증가세와 집값 상승세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까.
“기준금리 인상은 경제주체들의 차입 비용이 높아지고 위험선호 성향을 낮춰 가계부채 증가세나 주택가격 오름세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집값은 주택 수급 상황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주택가격 안정화를 위해선 통화정책과 함께 여러 정부 정책이 함께 효과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계속된 집값 고점 경고에도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원인이라면.
"수도권 주택가격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올랐다. 집값 상승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완화적인 금융여건이 오래 지속된 점도 있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수급 요인 등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왜 계속 오르는지 단언해서 이야기하긴 어렵다. 어느 정도 조정돼야 집값이 정상화됐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집값은 여러 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부채가 과도해 금리 인상을 할 수 없는 ‘부채의 함정’에 빠진 것 아니냐는 우려도 크다.
“이자 부담이 과도해지고 소비·투자를 위축시키는 탓에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게 부채의 함정이다. 그러나 우리 경제는 경제주체들의 소비가 늘어날 여력이 충분하고, 가계 저축 여력과 소비가 회복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부채 함정에 빠졌다고 볼 수는 없다.”
-역대 최저금리가 한국 경제에 가져온 영향을 어떻게 보고 있나.
“지난해는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이 과도하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았던 시기였다. 그때 금리를 낮춰서 각 경제주체의 차입 비용을 덜어줌으로써 경제활동의 과도한 위축을 방지했다. 그러나 이례적인 완화 여건이 1년 반 정도 지속되다 보니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게 금융불균형이다. 저금리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차입에 의한 과도한 수익 추구행위가 나타났다. 이젠 금융불균형 해소에 역점을 두겠다. 앞으론 경기 개선에 맞춰 금리를 정상화시키겠다.”
-금리 인상으로 성장률 회복이 더뎌질 수 있단 지적이 나온다.
“이론적으로 보면 금리 인상은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번에 금리를 올렸지만 지금의 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다. 이번 금리 인상이 실물경제의 기조적인 흐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거라곤 생각하지 않는다.”
-취약계층의 금융부담이 커질 거란 우려도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겹쳐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클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지만 통화 정책은 경제 여건을 보고 판단해야 하고, 금융불균형 누적 상황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지체해선 안 된다고 봤다. 취약계층을 집중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고, 이는 재정이 1차적으로 담당할 몫이다.”
-통화정책방향에서 앞으로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점진적으로 조정할 거라고 했다.
“점진적이란 말은 크게 서두르진 않겠지만 지체하지도 않겠단 뜻이다. 추가조정 시기는 가장 큰 변수인 코로나19 전개상황, 예상한 성장경로가 그대로 이어질지, 연준의 정책변화, 금융불균형의 전개상황 등을 보고 고민해서 결정해나겠다.”
-국내외에서 국내 잠재성장률을 크게 낮추고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라면.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 잠재성장률은 2% 수준으로 추정한다. 2~3년 전 추산한 2.5%보다 낮아졌다. 주된 원인은 인구구조 변화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고용 충격, 생산성 저하가 나타난 것도 잠재성장률 하락요인이다. 신성장 산업 지원 강화, 기업 투자 여건 개선 등 투자 환경을 바꾸지 않으면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쉽지 않다. 고용 여건이 취약한 여성·청년의 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도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