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장군의 귀환

입력
2021.08.18 18:00
26면
0 0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홍범도 장군의 유해 안장식이 18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서 열렸다. 시민이 홍범도 장군의 묘역에서 추모하고 있다. 대전=뉴스1

홍범도 장군의 유해 안장식이 18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서 열렸다. 시민이 홍범도 장군의 묘역에서 추모하고 있다. 대전=뉴스1

봉오동 전투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20년을 ‘독립전쟁의 원년’으로 선포한 뒤 벌어진 ‘독립전쟁 제1회전’이다. 임시정부는 일본군이 157명 숨졌다고 발표했지만 ‘홍범도 일지’엔 "일본군 오륙백 명이 죽었다"고 쓰여 있다. 더 큰 의미는 대한독립군과 대한군무도독부, 대한국민회의 삼단 연합으로 북로독군부가 결성되고 신민단 군대 등 북간도 지역 항일 무장단체들이 모두 힘을 합쳐 이룬 대승이란 사실이다. 신분과 지역, 이념과 종교를 넘어 하나가 되면 독자적인 힘으로도 일본군을 물리치고 나라를 되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다.

□ 봉오동·청산리 대첩의 영웅 홍범도는 태어난 지 7일 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아홉 살 때 아버지마저 잃어 머슴살이를 했다. 평민인 그를 ‘하늘을 나는 호랑이’ 의병장으로 만든 건 부인의 희생이 결정적이었다. 일본은 부인 단양 이씨를 붙잡아 남편의 귀순을 회유하는 글을 쓰도록 고문했다. 그러나 이씨는 “계집이나 사나이나 실 끝 같은 목숨이 없어지면 그뿐이다. 내가 글을 쓰더라도 영웅호걸인 그는 듣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하다 결국 목숨을 잃었다. 큰아들도 전투 중 숨졌다.

□ 홍 장군과 안중근 의사의 인연도 주목된다. 안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스스로를 ‘대한의군 참모중장’이라고 밝혔다. 개인 자격이 아니라 한 나라의 장군으로 적장을 공격한 셈이다. 홍 장군과 ‘안 장군’이 연합작전을 폈을 가능성도 있다. 안 장군은 1908년 6월 동의회 의병부대 우영장으로 국내 진공작전을 펼 때 회령에서 홍 장군을 만났다는 진술을 남겼다.

□ 홍 장군은 카자흐스탄에서 서거한 지 78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대전현충원에 18일 안장됐다. 효창공원에 마련된 안 장군의 가묘는 여전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유해 송환보다 더 중요한 건 정신을 기리는 일이다. 두 장군은 외세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일제에 저항했다. 두 영웅이 바란 것도 완전히 독립된 조국이었다. 지금 우린 스스로를 온전히 지킬 수 있는 나라인가. 남북이 서로 갈라져 유해 쟁탈전까지 벌인 상황은 어찌 설명해야 할까. 장군의 귀환은 감격스러운 일이지만 마음 한편으론 장군을 뵙는 게 부끄러워지는 이유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8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묵념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8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묵념하고 있다. 뉴스1


박일근 논설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