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기저귀 갈 때 아기 사타구니 잘 살펴야 ‘서혜부 탈장’ 조기 발견

알림

기저귀 갈 때 아기 사타구니 잘 살펴야 ‘서혜부 탈장’ 조기 발견

입력
2021.06.15 10:33
0 0

방치하다간 장폐색·괴사 등 합병증 유발

소아 서혜부 탈장은 예방법이 없기에 평소 기저귀를 갈거나, 목욕시킬 때 사타구니의 좌우 대칭 여부를 관찰해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소아 서혜부 탈장은 예방법이 없기에 평소 기저귀를 갈거나, 목욕시킬 때 사타구니의 좌우 대칭 여부를 관찰해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6개월 된 아들을 키우고 있는 이모 씨는 어느 날 아이 기저귀를 갈아주다가 오른쪽 사타구니 부분이 왼쪽보다 튀어나온 것처럼 보여 의아했다. 하지만 허벅지에 살이 많아서 그러려니 생각하며 만져보다 보니 괜찮아져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며칠 후 살펴보니 그 부위가 눈에 띌 정도로 불룩 튀어나오고 무언가 만져져 깜짝 놀라 병원을 찾았다. 아이는 ‘서혜부 탈장’을 진단받았고 수술을 기다리고 있다.

◇태아 때 장기 이동 통로 막히지 않아 발생

탈장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아 탈장’이라면 서혜부 탈장을 말한다. 태아 초기에 생겨난 고환이나 난소는 뱃속에 위치하고 있다가 임신 7~9개월 사이에 이동하며 제 위치를 찾아 간다. 이때 이동 통로로 남아에게는 초상돌기, 여아에게는 누크관이 생겨나는데 이들은 정상적인 이동이 끝나면 저절로 닫힌다. 하지만 일부 아기들은 이 통로가 닫히지 않은 채 태어나고, 이를 통해 장기가 빠지는 서혜부 탈장이 발생하는 것이다.

소아 서혜부 탈장은 영아의 3~5%에서 나타나며 환자의 10%는 가족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평균 발견 연령은 만 3.3세이며 3분의 1 정도는 생후 6개월 이내 발견된다.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5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임신 37주 이전에 태어난 미숙아는 서혜부 탈장 발생률이 30% 정도로 만삭아보다 높다.

◇사타구니 부위 불룩 튀어나오면 의심

서혜부 탈장은 서혜부 부위(사타구니)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증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평소에는 튀어나오지 않다가 아이가 울거나 대변을 보는 등 복압이 올라가는 행동을 했을 때 튀어나왔다가 저절로 제자리로 돌아갈 때가 대부분이다. 이럴 때에는 아이들은 대개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다. 튀어나온 부위가 저절로 들어가지는 않지만 누르면 다시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때도 아이들은 별다른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빠져 나온 장이 덩어리처럼 튀어나온 상태로 눌러도 들어가지 않을 때가 있는데 이를 ‘감돈 탈장’이라고 한다. 감돈 탈장은 나이가 어릴수록 더 잘 발생하는데, 튀어나온 부분이 단단하게 만져지고 주변이 붓기도 하며 남자 어린이의 경우 음낭이 푸른색을 띄기도 한다. 이때 아이는 구역ㆍ구토ㆍ복통 등을 호소하게 된다. 이 경우 응급수술을 하지 않으면 장폐색과 괴사로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다.

서혜부 탈장의 치료법으로는 수술이 유일하다. 복벽이 약해져 발생하는 성인 서혜부 탈장과 달리 소아 탈장은 인공 막 등을 보강하지 않고 수술로 장기가 탈출하는 길을 묶어서 치료한다. 수술법에는 절개와 복강경 두 가지가 있다. 절개와 복강경을 말 그대로 바깥쪽에서 절개해 수술부위에 접근하느냐 혹은 복강경을 통해 몸 안쪽에서 접근하느냐의 차이다.

절개 수술은 탈장 된 부위의 피부를 2~3㎝ 정도 잘라내고 진행한다. 복강경 수술은 카메라를 넣기 위해 배꼽에 1㎝ 남짓을 절개하고, 양옆에 수술 도구를 넣기 위한 5㎜ 크기의 구멍 2개를 뚫어 진행한다. 배꼽 부위에 1.5~2㎝ 크기의 구멍 하나만을 뚫고 진행하는 단일 공 방식도 있다. 절개 방식이 유일했던 과거와 달리 요즘엔 대부분 복강경 수술로 진행하며, 수술 후 재발률은 0.5~1%로 보고되고 있다.

나영현 고려대 구로병원 소아외과 교수는 “아이가 전신마취 수술을 해야 하므로 걱정하고 주저하는 부모가 많은데, 탈장은 장 괴사, 천공, 복막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발견되면 전문의를 찾아 진료받고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나 교수는 “수술 부위 주변에는 정관ㆍ고환 혈관 등 중요 기관이 있어 수술 숙련도가 중요하므로 소아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서혜부 탈장은 태아가 발달하지 않아 발생하므로 예방법은 없다. 다만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나이에 나타나는 병이기에 부모가 아이를 세심히 관찰해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영현 교수는 “서혜부 탈장은 저절로 호전되는 질환이 아닌데다가 다양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평소 부모가 아이 기저귀를 갈거나, 목욕시킬 때 사타구니의 좌우 대칭 여부를 관찰해 초기에 발견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