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대신 AI가 편집한다는 네이버, 카카오뉴스
정치권에서는 "알고리즘 구조까지 공개해야"
국내 대표 포털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 배치 알고리즘의 공정성 문제가 정치권으로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에선 "포털 뉴스가 편향된 상태로 네티즌들에게 제공되고 있다"며 관련 알고리즘을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심지어 포털이 뉴스 편집권에서 완전히 손을 떼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논란은 2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포털 알고리즘 관련 공청회'에서도 불거졌다. 이 자리엔 김동원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실장, 김진욱 법무법인 주원 변호사, 이수영 전 카이스트 인공지능(AI) 연구소장, 최경진 가천대 AI·빅데이터정책 연구센터장이 진술인으로 참석했고, 최재호 네이버 에어스 담당이사와 김희정 카카오 플랫폼사업실장이 참고인으로 나왔다.
선거 때마다 포털 뉴스 편향성 의혹은 '뜨거운 감자'
포털 뉴스의 공정성 시비는 사실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선거와 같은 정치 이벤트 때마다 여야는 모두 포털 뉴스 게재에 대해 강한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2017년 네이버 스포츠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청탁을 받고 기사 배열을 변경한 사건이 드러나면서 이런 의혹은 정점에 달했다.
이후 포털사들은 뉴스 편집권을 AI 알고리즘에 맡기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편했다. 하지만 해당 알고리즘 역시 네이버나 카카오 개발자들의 손에서 구성되는 만큼 편향성 논란은 여전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치권에선 각 포털의 알고리즘 구조를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내놓고 있다. 해당 알고리즘의 공정성이 외부 전문가에 의해 직접 검증돼야 한다는 시각에서다.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에선 일정 수준 이상의 이용자와 매출액을 확보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의 알고리즘을 매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방송통신위원장에게 제출하도록 규정했다.
이날 공청회에 참가한 법학·미디어·AI 학계 진술인 모두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에 동의했다. 김진욱 변호사는 "네이버, 카카오 모두 일평균 이용자 3,000만 명 넘는 막대한 플랫폼"이라며 "이용자의 자율적 판단이 필요한 선거 등에서 포털사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여론이 왜곡될 경우 이는 민주주의에 큰 해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진 가천대 인공지능 빅데이터 센터장도 "알고리즘이 점점 고도화되면서 우리 사회의 기반이 될 것인 만큼 규제는 불가피하다"며 "이미 유럽연합, 독일, 미국 등에서도 이런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개한 알고리즘, 검증은 어떻게?
하지만 알고리즘의 공개 범위와 검증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네이버 부사장을 역임한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해당 알고리즘을 설계한 개발자도 알고리즘을 통해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를 모른다고 한다"며 "검증이라는 개념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카이스트 AI연구소 명예교수는 "알고리즘의 설명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설명을 위한 요소를 하나하나 데이터에 넣어 학습하는 방법으로 알고리즘을 구성하면 되지만 정확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포털의 뉴스 콘텐츠 추천 기능 대신 언론사 기사 화면으로 넘어가는 아웃링크 방식 검색 서비스로 전환하는 것은 어떤가?"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참고인으로 참석한 네이버, 카카오 관계자들은 시종일관 "뉴스 배열 알고리즘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았다. 최재호 네이버 에어스 이사는 알고리즘의 검증 가능성에 대해 "이 기사가 왜 추천됐는지를 되짚어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다만 성능이 감소되더라도 설명 가능한 요소를 넣어볼 수 있도록 준비해보겠다"고 말했다.
김희정 카카오 플랫폼사업실장은 "이미 카카오는 카카오 내부에서 뉴스를 보여주는 인링크 방식과 외부 언론사로 연결하는 아웃링크 방식 모두 제공하고 있다"며 "국민적 공감대가 있다면 이를 개편하는 것도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