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숲, 기능에 걸맞은 관리가 필요하다

입력
2021.05.25 22:00
27면
0 0
신원섭 교수 제공

신원섭 교수 제공


숲은 우리에게 수없이 많은 혜택을 준다. 그중에는 목재와 같은 물질이 있고, 깨끗한 공기와 물, 그리고 기후를 완화시키는 비물질적인 것도 있다. 최근에는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여가의 장소를 넘어 면역력을 높여주는 건강과 국민행복의 복지자원으로도 크게 부각되고 있다.

숲이 주는 이러한 혜택은 모두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쉽게도 한 가지 혜택을 얻기 위해서 다른 혜택을 포기해야 할 때가 많다. 그래서 숲을 관리할 때는 다양한 기능이 잘 발휘되도록 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이를 위해 1960년 '다목적 이용과 수확에 관한 법'까지 제정돼 있다.

우리나라는 잘 알다시피 민둥산이나 다름없던 국토를 1970~80년대에 녹화하는 데 온 국력을 집중했다. 현재 우리가 자랑스럽게 여기는 울창한 산림은 이런 우리의 피와 땀으로 이룬 것으로 우리나라의 자부심이면서 세계가 부러워하는 사실이다. 그래서 이제 우리 숲은 OECD 국가의 평균 수준을 넘는 울창함을 가지고 있다.

숲이 울창해지면서 우리나라도 숲이 주는 다양한 혜택을 조화롭게 이용하는 것이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숲은 그 혜택을 이용하려는 사람 또는 집단에 따라 가치의 우선순위가 달라진다. 이는 가치 판단의 문제이며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숲을 관리하는 산림청은 숲이 갖는 경제, 사회, 그리고 환경적인 다양한 기능을 조화롭게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책무를 갖는다. 이를 위해 숲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여건과 자라는 상태, 관리여건이나 기후와 토양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요구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6대 기능별로 관리하고 있다. 수원함양, 산림재해방지, 자연환경보전, 목재생산, 산림휴양, 생활환경보전이 바로 그것이다.

최근 '나무심기와 벌채'를 둘러싸고 이곳저곳에서 말이 많다. 숲을 공부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숲이 가진 목재의 생산도 숲의 기능 중에 하나이고 이 기능을 수행하는 '목재생산림'에서는 당연히 '나무심기와 벌채'가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우리 숲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하는 '목재생산림'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목재가 꾸준하게 생산돼야 하고, 그 영속성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벌채 후 나무가 심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임학'이라는 학문이 생겨난 근간인데 '법정림사상'이라고 불린다. 다만 벌채가 이뤄질 때는 생태적인 영향과 경관을 고려해야 하며 대규모 벌채와 같은 방법은 지양해야 한다.

숲에서 목재가 잘 생산돼야 현재 16%밖에 안 되는 목재의 자급률을 높일 수 있다. 적어도 30% 정도의 목재 자급률이 달성돼야 숲의 경영이 활성화될 수 있다. 더불어 우리나라 '목재생산림'의 경영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숲에서의 경영과 관리를 위한 임도가 확보돼야 한다. 그래야 기계 작업은 물론이고 산불이나 병해충 방제 같은 재난에도 대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과 기후에 따라 수종과 나이도 다양화돼야 지속 가능한 경영이 이뤄질 수 있다. 물론 기능별로 보존이 필요한 '자연환경보전림'과 같은 숲은 철저히 보전돼야 함은 당연하다. 숲을 다루는 정책은 미래의 모습을 그려가며 지켜나가는 혜안이 필요하다. 어떤 정책이든 원칙에 충실해야 하듯 숲도 그 기능에 맞도록 철저하게 관리하면 될 일이다.



신원섭 충북대 산림학과 교수ㆍ전 산림청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