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에 19조 원 규모의 첨단 반도체 공장 건설을 공식화했다. 하지만 핵심인 공장 부지와 착공시기 등을 포함한 세부계획은 아직까지 밝히지 않았다. 이는 후보 지역인 미국 주정부 3곳과 가장 중요한 '인센티브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가장 좋은 조건의 인센티브를 제시한 1곳을 낙점할 예정인 가운데 최종 발표도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협상으로 최고 조건 인센티브 이끌어내야"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진행된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서 170억 달러(약 19조2,000억 원) 상당의 미국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 건설 소식을 알렸다. 삼성전자의 해외 단일 투자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은 "17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좋은 소식이, 구체적인 소식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신규 파운드리 후보지로 기존 파운드리 공장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시 외에 뉴욕주 제니시 카운티와 애리조나 피닉스 등 총 3곳을 검토해 왔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미국의 투자계획만 확정하고 언론에 세부계획을 공개하지 않은 건 주정부 3곳과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반도체 공장을 짓고 운영하려면 막대한 투자금이 들어간다. 혹시라도 공장이 멈추는 일이 없도록 용수나 전기와 같은 인프라 시설도 필수다.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학회장은 "미 연방정부의 반도체 지원 정책과 별개로 세제 혜택, 인프라 지원은 주정부 몫"이라며 "삼성전자로선 협상을 통해 가장 유리한 인센티브를 주정부로부터 끌어내야 하는 절차가 남았다"고 말했다.
실제 삼성전자는 연초 텍사스주 오스틴시에 170억 달러 투자 조건으로 올해부터 25년 동안 8억547만 달러(약 9,000억 원)의 세금을 깎아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텍사스 역사상 투자와 인센티브에서 모두 역대 최대 규모다.
하지만 오스틴시가 삼성전자에 인센티브로 6억5,000만 달러(약 7,300억 원·10년간 세금 혜택)를 제시하면서 양측 간 협상은 깨졌다. 삼성전자는 이에 오스틴시 외 뉴욕, 애리조나 등 총 3곳을 후보지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고, 이후 주정부 3곳에서 삼성전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도 본격화됐다. 먼저 퇴짜를 놓은 오스틴시에선 삼성전자가 요구하는 인센티브를 줘서라도 유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쏟아졌다.
사실 미국에선 대기업 유치를 위한 주정부 간 인센티브 경쟁이 흔하다. 2017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이 두 번째 본사 이전을 발표했을 때 당시 댈러스는 11억 달러(약 1조2,400억 원)의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내걸어 이목을 끌기도 했다.
"빠를수록 좋다"… 최종 후보지역 발표 임박
업계에선 최종 후보지 선정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의 미국 파운드리 건설은 전 세계 반도체 큰손인 미국의 빅테크 회사들과 팹리스(퀄컴처럼 반도체 설계만 하는 회사)들을 겨냥한 것이다.
이미 파운드리 분야에서 삼성전자를 앞선 대만 TSMC는 올해 미국 파운드리 공장 건설에 착공, 2024년부터 생산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만약 삼성전자의 첨단 파운드리 건설이 늦어지면 그만큼 TSMC에 경쟁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삼성전자의 미국 파운드리 건설은 빠를수록 좋다"며 "늦어지면 미국의 대형 고객들로부터 수주할 기회를 잃게 된다"고 전했다.
김기남 부회장이 "곧 구체적인 소식이 있을 것"이라고 한 점에 미뤄 인센티브 협상 역시 거의 막바지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여전히 오스틴시가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 박재근 학회장은 "오스틴에 물이 충분하고 기존 공장도 있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텍사스가 전기 문제만 확실히 매듭지어 준다면 오스틴이 입지로선 가장 낫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