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경북·전북·강원 65세 이상 20% 넘어
기초지자체 인구 45곳 증가·165곳 감소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줄어든 국내 인구의 감소세가 올해 1분기에도 계속 됐다.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은 아동?청소년 인구 비중을 넘겼고, ‘지방 소멸’ 경고등이 켜진 지역에선 인구 이탈이 가속화했다.
행정안전부는 3월 말 기준, 국내 주민등록인구가 5,170만5,905명으로 지난해 연말보다 12만3,118명이 줄었다고 밝혔다. 감소 인구 중 거주불명자 직권말소를 제외하고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아 생긴 순수 감소분은 1만370명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한 후 새해 들어서도 감소세가 지속된 셈이다.
인구 감소 여파로 올 1분기 평균 세대원 수는 사상 최저치인 2.23명을 기록했다. 4인 세대 이상 비율(19.6%) 역시 처음으로 20% 아래로 하락했다. 반면 1인 세대는 913만 세대(39.5%)를 기록, 40%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출생자가 줄고 고령자가 늘면서 인구구조는 한층 더 역삼각형에 가까워졌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16.6%)은 2019년 아동(0~17세)을 추월한 데 이어, 이번엔 청소년(9~24세?16.4%) 인구 비중마저 넘겼다. 최근 10년(2011년말 대비 3월말 현재) 연령계층별 인구변동을 살펴보면 아동(19.6%→14.8%)·청소년(20.5%→16.4%)·청년(22.6%→20.2%) 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11.2%→16.6%)은 크게 늘었다.
17개 시·도 중 전남(23.7%), 경북(22.0%), 전북(21.6%), 강원(21.0%) 등 4곳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 초고령사회로 분류됐다. 부산(19.6%), 충남(19.3%)도 초고령사회 진입이 임박했다.
지방의 인구유출도 확대 추세다. 17개 시?도 중 지난해 연말보다 인구가 늘어난 곳은 경기와 세종, 제주 3곳뿐이다. 대구 8,362명, 부산 6,794명 등 14곳에선 인구가 줄었다. 기초지자체로 범위를 넓혀보면 경기 평택?시흥?남양주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45곳에선 인구가 늘었고 165곳은 감소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