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낮 성인 남성조차 발길 돌렸던 뒷골목의 '환골탈태'

입력
2021.03.19 07:50
수정
2021.03.19 09:10
15면
0 0

<36> 대구 달성토성마을 골목길

달성토성마을 입구에 '고대로의 여행, 달성토성마을'이라는 문구가 관광객들을 맞고 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입구에 '고대로의 여행, 달성토성마을'이라는 문구가 관광객들을 맞고 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대구시청에서 서쪽으로 2㎞ 남짓 떨어진 대구 한복판에는 그리 크지 않은 토성이 하나 있다. 바로 사적 제 62호 달성(達城)이다. 성곽의 높이는 4m 내외, 둘레는 1.3㎞ 정도로, 외적을 막기위한 성 치고는 아담한 편이다. 삼국사기에 신라시대 때 축조했다는 기록이 전해지지만, 실제로는 청동기때부터 구릉에 성을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때는 일제가 민족정신을 짓밟기 위해 신사(神社)로 사용한 아픔도 있다. 1966년 일제 잔재를 없앤 뒤 1969년 달성공원을 조성했고, 이듬해 동물원을 설치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달성 서쪽 성곽 밖으로 승용차가 겨우 비껴갈 수 있을 정도로 좁은 도로 서쪽에는 서구 비산 2, 3동 주택가가 있다. 달성토성마을이다. 리어카 하나 겨우 지나다닐 정도의 좁은 골목길이 미로처럼 얽혀 있는 곳이다. 이 골목길이 대구 서구와 주민들이 이름붙인 '달성너머로(路)'다. 굴곡진 달성의 역사와 함께 주민들의 애환이 녹아든 이 골목길이 요즘 ‘핫’하다. 주민과 행정기관이 힘을 모아 '골목길따라 추억속으로' 투어 길로 꾸민 그 길을 찾아가봤다.

벽화와 작은 정원, 역사가 살아 숨쉬는 거리

달성토성너머로는 달성 남쪽 끝자락에서 시작한다. 서쪽 성곽을 따라 북쪽 방향으로 꼬불꼬불 난 길로, '인동촌묵자(먹자)골목'까지 이어진다. 성곽과 접한 골목길이 얼추 1㎞, 주택가 골목길까지 다 합치면 2㎞ 남짓으로 그리 길지 않지만 골목과 골목 사이에는 숨은 정원과 온실, 공방 등이 한나절을 둘러봐야 할 정도로 볼거리가 많다.

달성토성마을 골목길 나비 포토존.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골목길 나비 포토존.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달성에서 내려다 본 달성토성마을과 달성너머로.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달성에서 내려다 본 달성토성마을과 달성너머로.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모처럼 화창한 주말날씨를 보인 지난 13일에도 달성너머로엔 산책 나온 주민과 외지 관광객들로 붐볐다. 달성 쪽 성곽자리에 설치된 수직정원엔 연두빛 새순이 점차 푸르름을 더해가고 있었다. 황토색깔 아스콘 포장길은 토성과 어울려 포근한 느낌을 주었다. 낡은 주변 건물도 깔끔하게 새단장했다. 과거 쓰레기 불법투기장이었음직한 구석진 곳은 화초가 심어진 화단으로 변신했다. 허름해보이는 벽체엔 어김없이 옛 모습을 나타내는 벽화가 그려져 있었다. 이갑연 달성토성마을 총무는 "벽화는 주민과 학생 전문가 등이 함께 모여 마을의 역사를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달성토성마을 비밀의정원.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 제공

달성토성마을 비밀의정원.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 제공


북쪽으로 난 길을 자박자박 걷다 보면 달성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보여주는 달성토성 야외전시관이 나온다. 낡은 건물을 매입, 조성한 곳이다. 주민들 쉼터이자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안겨주는 곳이다. 토성조형물, 1970년대까지 물을 끌어 올리기 위해 흔히 사용했던 작두펌프, 마을의 전설을 담은 '행운의 청어샘', 바닥의 광섬유 등이 눈길을 끈다. 전시관 한쪽에는 달성의 역사와 발굴과정 등을 담은 사진자료도 전시돼 있다.

달성토성마을 서문에 과거 달성공원 문지기였던 키다리아저씨 류기성씨에 대한 설명과 포토존이 마련돼 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서문에 과거 달성공원 문지기였던 키다리아저씨 류기성씨에 대한 설명과 포토존이 마련돼 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이어 멀리서도 한 눈에 보이는 키다리아저씨 포토존, 터널정원, 온실 등이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특히 달성공원 키다리아저씨 포토존은 실존인물인 달성공원 수문장 류기성씨의 키와 같은 높이 225㎝로 제작됐다. 그는 발 크기가 380㎜의 왕발에다 한 끼 식사로 불고기 30인분이나 짜장면 12그릇을 해치우는 대식가였다. 1968년 대구백화점 개업 당시 홍보맨으로 왔다 1971년 달성공원 개장과 함께 수문장으로 활약하면서 유명세를 떨쳤다. 1998년 은퇴했다가 이듬해 74세의 나이로 작고했다.


소통부재의 시대라고 하지만, 이곳은 딴판이다. 골목길 구석구석 놀이터나 쉼터에 주민들이 삼삼오오 모여 앉아 세상 돌아가는 얘기를 나눈다. 아이들도 스마트폰 대신 친구들과 골목길을 뛰어 노느라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주말을 맞아 찾아왔다는 최경환(33)씨는 "유년 시절 달성공원에 자주 놀러왔어도 토성마을은 잘 알지 못했는데, 골목 사이사이 꽃들을 구경하고, 걷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말했다.

달성토성마을 내 마을 공동온실. 대구 서구 제공

달성토성마을 내 마을 공동온실. 대구 서구 제공


10여년 전까지 대구 대표적 낙후지역

그러나 이 곳은 10여년 전만 해도 전혀 딴판이었다. 골목길이 좁고 우중충한 데다 역한 하수도냄새 때문에 대낮에도 성인 남성의 발길을 돌리게 만든, 잠재적 '우범지대' 같은 곳이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대구 북서쪽 공업지역의 배후주거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피난민과 타지에서 온 사람들이 몰리며 한때 3만여명이 다닥다닥 붙어 살던, 제법 큰 동네였다. 하지만 재개발 재건축 열풍도 이곳만은 비껴갔다.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달성공원 주변의 고도제한 탓이다. 차량진입이 어려운 곳도 많다보니 개보수나 증축도 여의치 않았다. 고령화, 공동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됐다.

대신 과거 100여기의 고분이 발견될 정도로 잘 보존됐다. 신라 금관이 출토된 적도 있다. 김연희 달성토성마을 문화해설사는 "이 곳은 경주에 버금갈 정도로 많은 문화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달성토성마을 다락방 전경. 이 곳은 각종 공방 체험과 골목정원 투어를 비롯해 주민들의 공동 커뮤니티 센터 역할도 하고 있다. 김재현 기자

달성토성마을 다락방 전경. 이 곳은 각종 공방 체험과 골목정원 투어를 비롯해 주민들의 공동 커뮤니티 센터 역할도 하고 있다. 김재현 기자


주민 주도 도시재생 모범사례

주민들도 마을 살리기에 나섰다. 2013년부터 집안에 있던 화분을 자발적으로 골목으로 내놓았다. 슬럼화를 마냥 지켜볼수만은 없어서다. 이곳만의 이색적인 화분 골목문화가 생겼다. 지금은 화분이 이중삼중으로 놓여 있어 마치 작은 숲을 이룰 정도로 주민들의 마을 사랑은 각별했다. 옹기 2개를 맞댄 화분, 잠자리 포토존, 목각 장식물 등은 저절로 행인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달성토성마을 다락방 3층 카페에서 판매하고 있는 달성토성빵. 달성공원의 모습을 본따 만들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다락방 3층 카페에서 판매하고 있는 달성토성빵. 달성공원의 모습을 본따 만들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다락방 2층 '공방 비오톱'에는 수경재배 식물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다락방 2층 '공방 비오톱'에는 수경재배 식물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서구도 2017년 주민 커뮤니티센터인 '달성토성마을 다락방'을 건립하며 힘을 보탰다. 관광객을 위한 공영주차장도 조성했다. 다락방은 서구 도시재생지원센터를 비롯해 공방 비오톱, 카페 등이 입주해 주민들의 쉼터로 자리잡았다. 3층 카페에선 달성토성을 본따 만든 '달성토성빵'이 유명하다. 센터는 '공간을 너머', '시간의 너머', '생활의 너머' 등 마을해설사와 함께 하는 골목정원 투어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달성토성마을 내 에서 꽃집 '쌈지 정원'을 운영하고 있는 서경숙씨.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내 에서 꽃집 '쌈지 정원'을 운영하고 있는 서경숙씨.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현 골목정원은 특히 서경숙(66)씨 등 4명의 숨은 노력에서 시작했다. 40여년 전 결혼과 함께 이 곳에서 터를 잡은 서씨가 꽃집 '쌈지정원'을 운영하며 화분을 골목으로 내놓으면서 마을 분위기가 바뀌자 주민들도 호응한 것이다. 처음엔 화분이 종종 사라지는 일이 벌어졌지만, 엄석만 당시 비산2·3 동장이 나서면서 해결됐다. 직접 만든 꽃 작품을 골목 어귀에 내놓고 주민들을 설득한 끝에 오늘날의 골목정원을 완성했다.

퇴직 후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장으로 근무 중인 엄 센터장은 "주민들이 서로 합심하는 긍정적인 분위기가 달성토성마을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골목 정원이 완성됐다"고 말했다. 현재 골목정원은 26개까지 늘어났다.

2016년부턴 달성토성마을 골목축제도 열리고 있다. 달성토성마을 골목정원은 지난해 산림청 아름다운정원 콘테스트 동상, 문체부 지역문화 대표브랜드 최우수상 장관상 등을 수상하며 도시재생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했다.

달성공원을 둘러싸고 있었던 삭막한 옹벽은 녹화 작업을 통해 새롭게 재탄생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달성공원을 둘러싸고 있었던 삭막한 옹벽은 녹화 작업을 통해 새롭게 재탄생했다. 김재현 기자 k-jeahyun@hankookilbo.com



골목이 변하니 정착하는 젊은 층 늘어

골목이 바뀌니 젊은 사람도 하나둘 찾고 있다. 한 청년은 수년 전 공영주차장 맞은편에 빈집을 매입해 '광합성'이라는 자신들만의 아지트를 만들었다. 이쑤시개 작가로 유명한 권기주씨도 벽화 그리기 자원봉사를 왔다가 눌러 앉았다.

대구시와 중구는 달성토성-경상감영-대구읍성을 연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토성 내 동물원은 2023년 조성 예정인 대구 대공원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지난 2019년 열린 달성토성마을 골목축제 전경.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 제공

지난 2019년 열린 달성토성마을 골목축제 전경.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 제공


주민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방식의 달성토성마을 축제(4월) 준비로 한창 바쁘다.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발굴하고, 청년들도 많이 이주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지역 유명관광지와 연계해 명품 관광코스를 개발한다는 복안이다. 엄석만 센터장은 "달성토성마을에는 낙후한 골목을 바꾸기 위한 주민들의 땀과 노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며 "곧 찾아올 봄에 많은 시민들이 골목 정원을 찾아 꽃 향기를 가득 머금고 갈 수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달성토성마을 내 물레방아 정원이 생기기 전 각종 폐타이어와 쓰레기가 쌓여져 있다. 대구 서구 제공

달성토성마을 내 물레방아 정원이 생기기 전 각종 폐타이어와 쓰레기가 쌓여져 있다. 대구 서구 제공


달성토성마을 물레방아 정원.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 제공

달성토성마을 물레방아 정원. 서구도시재생지원센터 제공


달성토성마을 터널정원 안내판.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달성토성마을 터널정원 안내판.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대구= 김재현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