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차 비상경제 중대본 '서비스업 발전전략'
비대면·디지털 전환으로 서비스업 부가가치 65% 목표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급속히 진행되는 비대면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서비스 산업을 비대면·디지털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양질의 서비스업 일자리 30만개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외식이나 숙박 등 코로나 재확산으로 위축된 대면 서비스업 지원을 위해서는 방역 안정을 전제로 총 4,900억원 규모의 바우처, 쿠폰을 발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서비스산업 코로나19 대응 및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코로나 계기로 서비스업 비대면 전환... 부가가치 65% 상향
정부의 목표는 2025년까지 서비스업 일자리 30만개를 창출하고, 현재 60% 초반 수준인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을 65% 수준으로 높인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서비스업의 디지털화에 나서고, 관광이나 보건, 문화콘텐츠 등 새로운 유망 서비스를 발굴하기로 했다.
서비스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스마트 오더 시스템, 서빙 로봇 등이 도입된 ‘스마트 상점’ 10만개를 보급하고, 야간에 종업원 없이도 동네 슈퍼가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전통시장에는 ‘가상현실(VR) 지도’를 구축하고, 소상공인에게는 키오스크와 디지털 결제 단말기 20만대를 보급하는 등 디지털화를 통한 상권 경쟁력 강화에도 나선다.
성장성이 높은 8개 서비스 분야(△관광 △보건의료 △물류 △영상콘텐츠 △예술·스포츠 △금융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정보)의 고부가가치화도 중점 지원한다. 여행 전 과정에 걸쳐 모바일로 관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 관광도시를 늘리고 지방공항과 관광상품을 연계하는 등의 방식으로 2025년에는 방한 관광객 2,000만명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시장 진입을 활성화하기 위해 신속심사제도를 도입하고, 안전성 우려가 적은 진단기기는 사후 평가로 전환하는 등 평가 방식도 바꾼다. 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자동화 설비를 갖춘 스마트 물류센터를 전국에 250개소로 확충하고, 온라인 영상플랫폼(OTT)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콘텐츠 현지화 작업도 돕는다.
2300만명에 4900억 규모 소비쿠폰 발급
정부는 앞서 발표한 6조7,000억원 규모의 ‘버팀목자금 플러스’ 외에 추가로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 서비스업계를 위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관광이나 공연·전시, 외식 업종 등의 피해 상황을 살펴 상반기 중 추가 긴급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위축된 대면서비스업 수요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방역 상황에 맞춰 4대 바우처(△농산물 △문화 △스포츠강좌 △휴가)와 4대 쿠폰(△농수산물 △외식 △숙박 △체육)을 발급하기로 했다. 발급 대상은 약 2,300만명이고 4,9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가 충분히 방역 통제권에 들어올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위 '보복소비'를 뒷받침하는 등 본격적 내수진작책을 미리 준비하겠다"며 "고용 창출의 보고라 할 서비스산업의 획기적인 육성 대책도 적극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