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4명은 최근 2~3년간 사교육이 심화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가량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교육분야에서 적절하게 대응했다고 응답했다. 교육 정책 중에는 ‘대입 공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이를 위한 정부 노력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내렸다.
1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0 교육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교생이 받는 사교육이 최근 2~3년 내 어떻게 변화했느냐’는 질문에 42.8%가 '심화됐다'고 답했다. ‘변화없다’는 응답이 51.8%, ‘줄었다’는 응답은 5.5%였다. 1999년부터 KEDI가 매년 실시하는 교육여론조사는 지난해 8월 31일부터 9월 25일까지 국민 5,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사교육비가 심화했다는 응답은 2017년 24.8%에서 2018년 29.3%, 2019년 42.5%로 매년 증가했다. 교육부 사교육비 통계에 따르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017년 27만2,000원에서 2018년 29만1,000원, 2019년 32만1,000원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교육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불신을 내비쳤다. 초?중?고 교사들의 능력과 자질에 대해 신뢰하지 못한다(24.1%)는 응답이 신뢰한다(22.2%)는 응답보다 많았다. ‘보통이다’는 응답은 53.7%였다. 교사 자격증이 없어도 현장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교사로 초빙하는 방안에 학부모의 52.1%가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
학생 수가 줄어 대학에 가기 어렵지 않은 시대가 됐지만 국민 46.4%는 "일류대 위주 입시 경쟁은 유지될 것"이라 답했다. 현 정부의 대학교육 정책 중 가장 우선해야 할 것으로는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29.6%), 등록금 부담 경감(22.5%) 순이었다. 정부의 교육 신뢰 회복 노력에 대해선 ‘잘못하고 있다’(36.1%)는 응답이 ‘잘하고 있다’(17.1%)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교육 당국의 대응에 대해서는 44.5%가 '적절하다'고 답해 '적절하지 않다'(13.3%)보다 많았다.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할 역할로는 '학생의 배움 및 학습 유지'(36.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