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中 “홍콩인 英 이주 부추겨도 효과 없어”
②영국 필패, “언제까지 강대국 행세할건가”
③英 ‘쿼드’ 참여는 재앙…美 동맹 저지 총력
중국이 또다시 미국의 동맹과 맞붙었다. 이번에는 영국이다. 중국의 아킬레스건 홍콩 문제를 후벼 파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을 치받던 호주와는 상황이 다르다. 당시 중국은 “신발 밑에 붙은 씹던 껌”이라며 힘으로 눌렀지만,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은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특히 바이든 정부와 일합을 겨루기도 전에 영국이 전면에 나서면서 중국의 부담은 커지고 있다.
①“홍콩인 英 이주 부추겨도 효과 없을 것”
영국이 지난달 31일부터 해외시민(BNO) 여권을 갖고 있는 홍콩인들의 이주를 허용하면서 중국에 일격을 날렸다. BNO는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1997년 이전 태어난 홍콩인과 그 가족 540만명이 영국에서 5년간 거주하면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는 권리다. AP통신은 “향후 5년간 30만명이 홍콩을 떠날 것”이라며 ‘헥시트’(Hong Kong Exit·탈홍콩)를 예고했다.
중국은 즉각 "후안무치한 강도질"이라며 내정간섭과 주권침해를 중단하라고 거칠게 반발했다. 동시에 “홍콩인들을 영국의 2류 시민으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증명서로서 BNO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떠날 테면 떠나보라는 으름장이다.
특히 BNO의 허상을 부각시키며 “홍콩인 상당수가 영국에 가지 못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텅쉰왕 등 중국 매체들은 “영국에 5년 체류하는 동안 서류 신청 비용만 8만 홍콩달러(약 1,152만원)가 든다”며 “돈을 벌면 소득세가 홍콩보다 3배나 많고, 직업이 없어도 실업급여 등 공공복리 혜택에서 제외돼 영국의 이주 정책은 효과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②영국은 필패, “언제까지 강대국 행세할건가”
중국은 홍콩과의 갈등을 조장하는 영국을 향해 “런던은 워싱턴의 꼭두각시”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큰 타격을 입은 영국이 존재감을 드러내려 홍콩을 빌미 삼아 ‘중국 때리기’ 강도를 높인다는 것이다. 그 뒤에 미국이 버티고 있기에 이런 ‘도발’이 가능하다는 게 중국의 해석이다.
특히 영국은 브렉시트(유럽연합 탈퇴)를 겪으면서 고립된 처지라 ‘강한 영국’의 위용을 뽐내기 위해 중국을 표적으로 삼았다고 볼 수도 있다. 중국 환구시보가 1일 “영국은 능력도 없으면서 서구의 정치적 쇼에 가담해 중국을 상대로 지는 게임을 하고 있다”고 비아냥댄 이유다. 추이훙젠(崔洪建) 중국 국제문제연구원 유럽연구소장은 “영국은 호주와 달리 항상 스스로를 강대국으로 여긴다”며 “홍콩뿐만 아니라 신장위구르, 남중국해, 정보기술(IT) 분야에서도 중국과 갈등과 마찰 수위를 계속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③英 ‘쿼드’ 참여는 재앙…美 동맹 저지 안간힘
이처럼 중국은 영국을 상대로 자신감이 넘친다. 반면 미국의 동맹으로 범위를 넓히면 사정이 달라진다. 중국이 맞서기엔 역부족이란 점을 절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을 겨냥한 안보협력체 ‘쿼드’가 대표적이다. 미국, 일본, 인도, 호주에 이어 영국이 참여해 5개국의 ‘퀸텟’으로 확장될 경우 중국의 고립은 심화될 수밖에 없다. “쿼드를 더 발전시킬 것(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영국이 아시아에 더 관여해야(일본 마이니치)”, “영국이 아시아판 나토(쿼드)에 참가할 수도(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 같은 전망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영국은 지난해 5월 기존 주요7개국(G7)을 ‘중국에 대항한 민주주의 10개국(D10)’으로 범위를 넓히자고 제안해 중국을 자극한바 있다. 영국은 이르면 올해 초 엘리자베스 항공모함 전단을 일본 근해로 전례 없이 장기 파견할 방침이다. 남중국해와 서태평양에서 중국을 봉쇄하는 미국에 힘을 싣는 행보다.
이에 중국은 영국의 의욕을 꺾고 동맹의 틈을 벌리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쿼드 합류는 미국을 따라하는 어리석은 짓”이라며 “쇠퇴하는 미국은 결코 신뢰할 수 없는 파트너”라고 쏘아붙였다. 이어 “영국의 경제 규모가 2025년 인도에게마저 추월 당할 것”이라며 “쿼드에 가입하면 영국 경제는 더 질질 끌려 다닐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