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지는 것에 대한 엄청난 공포가 인류를 감싸고 있다. '접촉 공포증'으로 공유경제 역시 꺼려질 가능성이 높다.”
구글이 선정한 최고의 미래학자인 토머스 프레이 다빈치연구소장은 지난해 9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신종 코로나 시대'를 이렇게 내다봤다. 전염성이 강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다른 사람이 사용한 공간이나 차량ㆍ물건을 함께 쓰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그로인해 공유경제도 위기를 겪을 것이란 전망이었다.
프레이 소장을 비롯한 다수의 미래학자들이 코로나19로 공유경제가 하락의 길을 걷게 될 것으로 예견했으나, 서울시민은 정반대 의견을 내놨다. 국내 코로나 3차 대유행의 중심에 선 상황에서 나온 설문 결과여서 주목된다. 10명 중 7명은 “자원공유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만19세 이상 69세 미만 시민 4,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4일부터 열흘 간 ‘공유도시 정책 수요 발굴을 위한 온라인 인식조사’를 시행한 결과, 70.3%가 자원공유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나머지 27.0%는 필요성에 대해 ‘보통’이라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서울시가 자원공유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그간 공유 정책에 대한 평가 등을 살피기 위해 진행됐다.
자원 공유가 필요한 이유로는 ‘낭비되는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서’(39.1%)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환경오염 예방’(28.3%), ‘공유를 통한 지출 감축’(21.0%), ‘공동체 활성화’(9.0%), ‘공유산업 육성’(2.6%)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신종 코로나 확산’, ‘낮은 서비스 품질’ 등은 우려할 점으로 꼽아 ‘안전한 공유경제’를 만들기 위해 신경 써야 할 부분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공유정책이 해결하는 사회ㆍ도시 문제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는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서비스 창출’(66.1%ㆍ복수응답)을 꼽은 이들이 제일 많았다. 불필요한 제품의 생산ㆍ소비를 감소(59.7%)시키고, 공동체 회복에 도움을 준다(47.5%)는 의견도 잇따랐다. 응답자의 77.2%가 개인 물건을 공유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공유 가능한 물건으로는 도서를 가장 많이 택했다. 이어 가정용 공고, 운동기구, 취미도구, 중소형 가전제품 순이었다.
시민들 중 77.9%는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서울시의 주요 공유사업으로 따릉이(77.8%ㆍ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공공와이파이 서울(64.7%), 공공시설 개방(44.2%), 주차장 공유(42.0%) 등이 뒤따랐다. 이 같은 공유도시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78.2%로 1년 전보다 15.5%포인트 뛰어올랐다.
정선애 서울혁신기획관은 “신종 코로나로 생활이 비대면ㆍ비접촉 방식으로 제한됐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여전히 자원공유의 필요성에 대해 크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를 고려한 공유정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