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신체 질환에는 ‘공감’, 정신 질환에는 ‘글쎄’하는 이유는?

알림

신체 질환에는 ‘공감’, 정신 질환에는 ‘글쎄’하는 이유는?

입력
2020.12.21 17:22
수정
2020.12.21 17:24
0 0
신체 질환과 정신 질환을 바라보는 태도가 다른 것은 이를 처리하는 뇌 부위가 서로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신체 질환과 정신 질환을 바라보는 태도가 다른 것은 이를 처리하는 뇌 부위가 서로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몸이 아픈 사람과 마음이 아픈 사람 모두 고통을 겪는다. 하지만 두 질환을 바라보는 태도는 많이 다르다. 신체 질환자의 고통에는 공감하고 동정심을 갖지만 정신 질환자를 보는 눈은 그렇지 않다.

최근 국내 연구에 따르면 두 대상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처리하는 뇌 부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신원교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박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신체 질환자와 정신 질환자의 마음을 추론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관찰해 최근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19~35세 건강한 성인 40명이었다. 이들에게 신체 질환자 혹은 정신 질환자로 표시된 사진을 위로ㆍ격려 메시지와 함께 모니터로 보게 했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를 받았을 때 환자들이 어떻게 느낄지 예측하게 했고, 이때 뇌 활성화를 fMRI로 관찰했다.

그 결과, 신체 질환자를 대할 때는 복내측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됐다. 이 영역은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 및 이타적인 행동과 관련된다.

반면 정신 질환자를 대할 때는 전측 뇌섬엽과 배측 전대상피질이 활성화됐다. 이는 공감이 어렵고 힘들어 인지적 자원을 많이 요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신체와 정신 질환자에 대한 마음을 추론할 때 사용되는 뇌 영역이 서로 구분돼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A. 신체 질환자, B. 정신 질환자에게 위로와 격려를 보냈을 때, 이를 바라보는 정상인의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활성화되는 부위가 서로 다르다. 서울대병원 제공

A. 신체 질환자, B. 정신 질환자에게 위로와 격려를 보냈을 때, 이를 바라보는 정상인의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활성화되는 부위가 서로 다르다. 서울대병원 제공


또한 연구팀은 환자뿐만 아니라 관찰자 본인의 얼굴이 나왔을 때의 뇌 활성화 양상도 살펴봤다. 자신에게 주어진 위로ㆍ격려 메시지에 대해서는 신체 질환자를 대상으로 할 때와 비슷한 뇌 활성화 반응을 보였다.

신원교 박사는 “신체 질환자의 마음을 추론할 때는 자기 자신의 경험을 참조해 쉽게 공감하지만 정신 질환자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며 “호의적인 행동에 대해서도 정신 질환자는 자신과 다른 정서를 경험할 것이라고 추측한다”고 설명했다.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고통 받는 사람에게도 전문의 치료와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의 공감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권준수 교수는 “일반인이 정신 질환자를 바라보는 편견의 신경행동학적 요인들을 찾아냈다”며 “정신 질환자의 낙인을 줄여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태도가 마련된다면 이들의 아픔을 치유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행동신경과학 프론티어스(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