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93명 사례 분석..."저소득·장애 속 고통스런 나날"
일제강점기 이후 부랑아 수용시설로 활용된 선감학원사건 피해자들이 휴일 없는 중노동과 구타, 성폭력 피해를 증언했다.
이들은 퇴소 후에도 학교에 돌아가지 못했고, 선감학원에서 얻은 장애로 굴곡진 삶을 살고 있다고 답했다.
이재강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7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선감학원사건 피해사례 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 부지사는 “이번 연구는 선감학원 진실규명 조사의 첫 시작이며, 공식적으로 접수된 피해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라며 “보고서는 피해자들의 삶이 피폐해진 과정을 관련 문헌과 현장조사, 설문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 4월 16일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신고센터 개소 이후 90여명의 신규 피해사례 접수를 받았다. 연구를 수행한 경기연구원은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사망자ㆍ주소불명자를 제외한 선감학원 입소자 중 93명이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분석했다.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63.5세이며, 이들의 입소 당시 나이는 11~13세가 40.4%를 차지했다. 입소기간은 최소 1년 이하에서 최대 11년이었으며 평균 4.1년으로 나타났다.
입소생활 중 거의 대다수는 기합(93.3%)과 구타(93.3%), 언어폭력(73.3%)을 겪었으며 성추행이나 강간을 당한 경우도 각각 48.9%, 33.3%(복수응답 가능)로 조사됐다.
강제노역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98%가 풀베기, 잡초제거, 양잠, 축사관리, 염전노동, 농사, 나무베기 등 노역을 한 경험이 있었고 일주일(7일) 내내 노역에 참여한 경우도 53.5%에 달했다. 일주일 평균 노동일은 6일, 평균 노동시간은 9시간으로 조사돼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강제노역행위가 지속적이었음이 드러났다.
또 응답자의 96.7%가 사망자 목격경험이 있으며 특히 시신 처리에 동원된 경우도 48.4%에 이르렀다.
이들은 선감학원에서의 경험이 퇴소 이후의 삶에도 영향을 끼쳐 정상적인 삶을 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선감학원 입소로 인한 교육 단절로 85.8%의 응답자가 초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이었고, 76.1%가 구두닦이, 머슴, 넝마주이 등 저소득 직업군에 종사했다.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전체 응답자의 37.6%에 달했다.
특히 응답자 중 34%가 장애가 있으며, 이들 중 30%는 선감학원에서 당한 피해로 인해 장애가 발생했다고 대답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 조선소년령 발표에 따라 안산시에 설립된 감화원이다. 그러나 해방 후에도 폐원되지 않고 도심 내 부랑아를 강제로 격리·수용했으며, 이후 1982년까지 국가폭력 수용시설로 운영돼 아동인권유린이 자행됐다.
한편 제2기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오는 10일 정식 출범해 2022년 12월 9일까지 위원회 및 각 지자체 접수처를 통해 진실규명 신청을 받는다. 경기도는 선감학원 피해사례 조사에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