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내 유엔에 제출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에서 국내 감축 비중을 크게 늘린 것으로 2일 확인됐다. 국외에서보다 국내에서 더 많이 감축하겠다는 뜻이다. 국내 감축은 상대적으로 이행력이 크다는 점에서, 그만큼 '확실하게'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정부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는 이달 중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과 함께 NDC를 유엔에 제출한다. 2015년 파리협정에 따라 제출 의무를 지게 된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다. LEDS는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의지 표현'이다. 5년마다 제출해야 하는 NDC는 '이행 의무'를 지닌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제출되는 NDC가 달라지는 점은 크게 세 축으로 요약된다.
①우선 2030 목표가 절대량 방식으로 변경된다. 2015년 제출한 NDC는 '배출 전망치(BAU·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으로 목표를 잡았다. 이번엔 '2017년 발생량 대비 24.4% 감축'으로 목표를 바꾼다. 산정 방식을 바꿔도 절대치는 5억 3,600만 톤으로 유지된다는 점이 비판을 사고 있다.
②대신 정부는 국내 감축 비중을 확대하기로 했다. 비교 편의를 위해 2015년 제출했던 감축 목표에 올해부터 적용되는 절대량 방식을 적용해보면, 당시엔 전체 감축 비중(24.4%)에서 국내 감축 비중은 16.5%, 국외 감축비중은 7.9%였다. 이를 두고 '이행 여부가 불확실한 국외 감축에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부여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아울러 국내 감축 비중을 전체의 3분의 2 수준으로 잡은 것은 국내 감축 의지가 낮다는 방증이란 지적도 나왔다. 이에 정부는 새로 마련한 NDC에서 국내 감축분을 21.4%로 늘리고, 국외 감축분을 3%로 줄이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2018년 정부가 마련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에 국제적 목표를 맞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③이와 함께 NDC에는 '2025년 전 2030 목표 상향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내용이 담긴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달 27일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25년 이전에 최대한 빨리 상향해 제출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정부는 감축 잠재량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르면 내년 5월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에서 상향된 목표가 발표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도 "탄소중립 실현 기틀 마련을 다음 정부로 미루지 말자"고 강조한 바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