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제1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 결과'
지난 2018년 한 해 국내에서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 3만여명 가운데 18.4%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했어도 4명 중 1명은 중증 장애를 얻었다.
질병관리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 결과’를 2일 내놨다. 이번 조사는 운수 사고나 추락, 미끄러짐 등으로 외상을 입은 환자 가운데 저혈압, 의식 저하, 호흡 이상 증상을 보였거나 119 구급대원이 소방청 기준에 따라 중증외상 환자로 판단한 사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2018년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는 총 3만2,237명으로, 인구 10만명당 62.8명꼴이었다. 남성 비율이 68.7%로 여성(31.3%)보다 훨씬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8.4%로 가장 많았다. 60대(15.9%)와 70대(11.9%), 40대(11.7%)가 뒤를 이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수, 충북>대전>강원 순 많아
환자 수로 보면 지역별로는 서울(6,488명)과 경기(5,578명)에서 많았다. 하지만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로 따지면 충북이 127.4명, 대전 115.7명, 강원 102.6명으로, 서울(67.3명)과 경기(43.4명)보다 많았다. 발생 장소는 도로가 43.4%, 집이 17%를 차지했다. 운수 사고(46.7%)와 추락·낙상(40.3%)이 대부분이었다.
응급실로 이송된 중증외상 환자 가운데 18.4%는 사망했다. 생존자 4명 중 1명은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남았다. 중등도 장애는 공공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제한된 환경에서 작업하는 건 가능하지만, 지능이나 기억력 결핍, 성격 변화, 편마비, 실조증 등 다양한 장애가 남은 상태를 뜻한다.
중증외상 환자 치료 결과2018년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 3만2,237명 중 생존한 2만4,512명(81.6%) 대상 조사.
치료 결과 | 인원 수(명) | 비율(%) |
---|---|---|
중등도 장애 | 4634 | 18.9 |
중증 장애 | 1780 | 7.3 |
지속 식물인간 상태 | 169 | 0.7 |
미상 | 23 | 0.1 |
회복 | 17906 | 73.0 |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역사회 기반 중증외상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예방관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오후 서울대병원에서 조사에 참여한 연구진, 외상 및 응급의학 전문가 30여명과 함께 조사 결과와 중증외상 관리 방안을 논의하는 결과발표회를 진행했다. 대한외상학회 이영호 이사장은 “중증외상의 치료 결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돼왔지만, 국가나 지역사회 단위로 발생 현황과 역학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알 수 있는 통계가 부족했다”면서 “지역사회 기반 중증외상 조사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