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꺼내고 꺼내도 마르지 않는 얼굴, 배우 김대곤

입력
2020.11.30 04:30
21면
0 0

편집자주

‘대학로 블루칩’ 극작가 겸 연출가 오세혁이 공간, 사람, 사물 등을 키워드로 무대 뒤 이야기를 격주 월요일자에 들려드립니다.


배우 김대곤의 다채로운 얼굴은 창작자에게 영감을 불어넣는다. 연극 '보도지침'에선 고문형사를 연기하며 시대의 어둠을 빚어냈다. 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배우 김대곤의 다채로운 얼굴은 창작자에게 영감을 불어넣는다. 연극 '보도지침'에선 고문형사를 연기하며 시대의 어둠을 빚어냈다. 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김대곤 [인명] 배우. 더 많은 대사를 주고 싶은 사람.

연극 ‘보도지침’ 초연에 작가로 참여하면서 배우 김대곤을 처음 만났다. “정말 재미있는 배우가 있다”는 소문을 들었고, 그 배우가 김대곤이었다. 연습을 참관하러 갔는데 김대곤은 모든 장면에서 활활 날아다니며 배꼽을 흔들어 놓았다. 그러나 내가 가장 감탄했던 장면은 그가 고문형사 역할로 나올 때였다. 아무런 표정 변화 없이 대사만 줄줄 말하는데 그 서늘함에 숨을 쉬지 못할 정도였다.

그는 밝은 만큼 그늘도 깊은 배우였다. 그의 얼굴을 더 알고 싶었다. 그의 말을 더 듣고 싶었다. 안타깝게도 내가 써 놓은 대사가 짧았다. 밤을 꼬박 새워서 고문형사의 독백을 만들었다. 내 기억에 A4 용지로 3장이 넘었던 것 같다. 다음날 김대곤에게 그 독백을 쥐어 주며 말했다. “당신의 독백을 듣고 싶어서 마구 써온 것이니, 당신이 마음껏 넣고 빼고 고쳐도 좋다. 다만, 당신이 이 장면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 좋겠다.” 그는 약간 당황한 표정이었지만 특유의 씨익 웃는 얼굴로 독백을 받아들었다.

며칠 후, 그는 그 독백을 온전히 자신의 말로 만들어 왔다. 심지어 다른 배우들이 그 형사의 독백에 설득이 된다며 식은땀을 흘릴 정도였다. 나는 김대곤의 밝음과 서늘함 이후를 더 알고 싶었다. 뮤지컬 ‘나무 위의 고래’를 준비하면서 그를 섭외했다. 그는 대본을 넘기며 자연스럽게 물었다. “저는 어디서 웃기면 되죠?” 난 “가장 진지한 역할로 당신을 섭외했다”고 말해 주었다. 그는 또 한 번 당황한 표정이었지만 역시나 씨익 웃으며 대본을 챙겨 갔다. 역시나 며칠 후, 그는 밝음과 그늘을 한 몸에 담아내는 연기를 펼치며 또 하나의 얼굴을 보여 주었다.

김대곤은 아직 대중에겐 낯선 이름이지만, 무대와 영상매체를 넘나들며 부지런히 발을 넓히고 있다. 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김대곤은 아직 대중에겐 낯선 이름이지만, 무대와 영상매체를 넘나들며 부지런히 발을 넓히고 있다. 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그는 많은 언어와 얼굴을 지닌 배우였지만, 오랫동안 하나의 언어와 얼굴만 꺼내 든 채 살아온 것 같았다. 그가 무대 위에서 더 많은 언어와 얼굴로 활약하는 모습을 보고 싶었다. 우리는 시간이 맞을 때마다 공연을 함께 했다. ‘세상친구’에서는 어리숙한 순사보조원에서 분노에 찬 빨치산토벌대로 변신해가는 역할을, ‘분장실청소’에서는 한류스타 매형의 건물에 빌붙어 살기 위해 똑똑하지만 일부러 무능력한 척하는 처남 역할을, ‘사랑가루’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의 기억을 붙잡으려 애쓰며 울고 웃는 역할을.

그는 술자리에서 늘 웃음이 많으며, 좌중을 웃긴다. 그 웃음의 대상은 늘 자신이다. 난 그가 타인을 대상으로 웃음거리를 삼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자기 자신에 대한 풍자와 해학으로 함께 있는 이에게 편하고 유쾌한 웃음을 준다. 그의 유머는 그릇이 참 크다. 그 큰 그릇에 많은 동료가 모여들고, 많은 속마음을 고백하며, 많은 도모로 이어진다. 그는 참 귀한 광장이다.

앞으로도 나는 그와 함께 많은 작업을 하고 싶다. 어쩌면 희망사항에 그칠 수도 있다. 그는 수많은 창작자에게 사랑받는 배우이고, 그의 활동은 무대와 매체를 넘나들기 때문이다. 그는 아마도 더 많이 사랑받을 것이고, 더 많이 넘나들 것이다. 그의 언어와 얼굴은 무한에 가까울 정도로 많아질 것이다. 그 생각을 하면 나는 즐거워진다. 어쩌면 나는 김대곤의 ‘최초의 얼굴’을 목격한 사람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 많은 말을 듣고 싶어 독백을 건넸을 때, 말없이 씨익 웃던 그 자신만만한 얼굴을. 밝으면서 서늘하고, 사랑하며 슬퍼하고, 울면서 웃을 수 있는 김대곤의 말과 얼굴이 오랫동안 사랑받으면 좋겠다.

극작가 겸 연출가 오세혁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