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대재난은 청년ㆍ여성의 정신을 좀먹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될수록 한국사회에서 이들이 소외당할 위험이 커지는 만큼, 이에 맞춰 보건ㆍ사회정책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정신건강센터가 27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2020 정신건강비전포럼’은 코로나19 이후 변화와 정신건강에 대한 내용들을 논의했다.
먼저 김문조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한국 사회를 △정체사회 △비대면사회 △홀로사회 △감시사회라 규정했다. 김 교수는 “성장이 둔화된 정체사회에서 사람들은 무력감으로 인한 정신적 장애를 앓고, ‘홀로족’이 양산되면서 면대면 관계의 온정이 사라질 것”이라며 “이는 우리 사회의 공동체적 결속을 낮추고 역동적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석훈 성결대 교수는 경제적 격차가 심화될 것을 우려했다. 그나마 성공적인 방역 덕에 한국 경제 자체는 성장할지 몰라도, 자영업자나 여행ㆍ항공분야 등은 혹독한 암흑기를 겪고 있고 이 암흑기는 장기실직자나 가난한 청년을 낳게 마련이다. 우 교수는 “경제적 긴급 정책과 정신건강정책이 연계되는 예방시스템이 중요하다”며 “현행 자살통계의 요인별 분류를 세분화하는 등 정책에 필요한 데이터부터 만들자"고 제안했다.
장숙랑 중앙대 간호대학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여성과 청년들의 자살률이 오르고 있는데, 이는 원래 이들이 겪던 취업 스트레스나 경제적 무력감이 재난과 만나 극대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1980년대생이 부모세대에 비해 자살 위험이 높은데, 이는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과 관계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노동ㆍ주거ㆍ교육대책을 세울 때 이들을 참여시켜 이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준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장은 "코로나19 유행 초기 청도대남병원 집단감염 사태를 통해 우리는 정신건강 사각지대가 재난에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 배웠다"며 "유행 장기화에 맞춰 방역과 함께 사회적 건강을 회복하는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