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9년 주택소유통계'
1주택자 23만명 늘어나는 사이 다주택자 9만명 증가
집값 격차도 40배로 더 커져
정부의 강력한 다주택자 규제에도 지난해 다주택자가 1년 사이 10만명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집값이 뛰면서 주택간 가격 격차도 40배로 더 벌어졌다.
다주택자 9만명 늘어 228만명 넘겼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기준 주택소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택을 1채 이상 소유한 사람은 전년 대비 32만6,000명 늘어난 1,433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2채 이상 다주택자는 228만4,000명으로 1년 사이 9만2,000명 증가했다. 이는 다주택자가 7만2,000명 늘었던 2018년보다 증가폭이 더 확대된 것이다. 이에 따라 주택 소유자 가운데 다주택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5.9%로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다주택자 비중은 2015년(14.4%)을 시작으로 매년 상승해 왔다. 다주택자 증가가 지난해만의 상황은 아니지만, 대출 제한 및 종합부동산세 인상 등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도 이런 추세를 막지 못한 셈이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다주택자 비중은 과거에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7년 이후로는 그래도 증가폭이 어느 정도 완화됐다"며 "통계 결과만 놓고 정부정책의 효과까지 언급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5채 이상 다주택자 12만명 육박... 제주, 서울 강남구에 많아
특히 주택을 5채 이상 갖고 있는 사람도 1년 사이 1,000명 증가한 11만8,000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절반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4채 소유자도 2,000명 늘었으며, 3채 소유자(+1만3,000명), 2채 소유자(+7만6,000명) 증가폭은 더 컸다.
다주택자 비중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시도별로는 △제주(20.7%) △세종(20.4%) △충남(19.0%) 순으로 다주택자 비중이 높았다. 서울의 다주택자 비중은 15.8%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지만, 서울 강남구는 21.5%로 시지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김진 과장은 "서울의 경우 강남 4구(강남·송파·서초·강동) 중 송파를 제외하고는 다주택자 비율이 모두 감소했다"며 "과열 지역을 보면 2채 이상의 다주택자의 비율은 줄었다"고 말했다.
상위 10% 주택 자산가액, 하위 10%보다 40배 크다
지난해 주택 소유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2018년보다 1,900만원 늘어난 2억7,500만원이었다. 실거래가가 아닌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다.
특히 주택 자산가액이 상위 10%(10분위)인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11억300만원으로 1년 사이 1억2,600만원 늘었다. 또 10분위의 평균 소유 주택수는 2.55채로 2채 이상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위 20%(9분위) 아래로는 평균 소유주택수가 2채 밑으로 떨어졌다.
반면 하위 10%(1분위)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고작 100만원 늘어난 2,700만원에 그쳤으며, 평균 소유주택수는 0.97호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10분위와 1분위 집값 격차는 2018년 37.5배에서 지난해 40.8배로 확대됐다. 특히 10분위의 경우 9분위와 비교해도 주택 자산가액이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 과장은 "정부가 공시가격의 시세반영률을 고가주택에는 높게 책정하고 중저가 주택에는 단계적 인상을 추진하고 있어 10분위에 해당하는 주택 가격이 더 올라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