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압력에 상수원 하천 기능 잃어” 지적?
남양주시, 정부에 상수원 다변화 건의
지난 16일 찾은 경기 광주시 퇴촌면 국가하천인 경안천(길이 27km)은 갈색 빛이 완연했다. 경안천으로 유입되는 상류엔 정체 모를 부유물이 떠다녔다. 직경 1m의 우수관에선 시커먼 물이 쏟아졌다. 이 물은 하천으로 흘러들어가고 있었다. 수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게 한 눈에 보일 정도였다.
"이대로 뒀다간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이날 경안천 인근에서 만난 김모(40)씨도 "상수원보호구역인 경안천도 그렇지만, 경안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상류 실개천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며 한숨을 푹 내쉬었다.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로 흘러들어가는 경안천의 수질오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안천의 수질 오염은 수치로도 드러난다. 환경부의 물환경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경안천 수질(2~4등급)은 지난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이 1.9ppm로, 팔당호로 합류하는 남한강(1.2ppm)과 북한강(0.9ppm)에 비해 높았다. 같은 기간 화학적산소요구량(COD)도 3등급(보통)인 6.0㎎/ℓ에 달했다. 1등급(좋음) 수준인 북한강(3.5㎎/ℓ)과 남한강(3.9㎎/ℓ)에 비교하면 수질은 뚝 떨어진다.
전체 유역의 상당 부분이 상수원보호구역 규제에서 비껴 나 있는 경안천(유역 211.4㎢)이 이미 상수원의 기능을 잃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안천 유역 인구는 2016년 51만명에서 올해 70만명을 넘어섰다. 경안천 수계인 용인ㆍ광주 공장설립 건수도 2000년 1,536곳에서 2018년 4,411곳으로 두 배 이상 늘어 수질오염의 위험성은 더 커지고 있다.
김기준(37) 조안면통합협의회장은 "상수원 규제에서 벗어나 있어 도로, 공사장, 축사 등에서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비점오염물질을 거르는 오염저감시설이 빈약한 게 현실"이라며 "경안천 수질 오염은 식수원인 팔당호까지 번질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안천 수질 개선은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결국 남양주시는 정부에 수도권 상수원의 다변화를 건의했다. 조광한 시장은 "더 이상 40년 된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로 특정 지역 주민들만 고통으로 내몰아선 안 된다”며 “국가 차원에서 팔당 상수원을 북한강, 남한강 상류로 다변화 하는 정책을 공론화하는 등 해결방안을 찾아할 때”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