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0%대 후반을 기록하던 근원물가상승률이 0%대 초반까지 추락한 가운데 충격의 주 원인은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한 수요 감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통계팀이 발표한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따르면 물가에서 단기 변동이 심한 식료품·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1~2월에 각각 0.8%, 0.5%(전년동월대비)를 나타냈지만 3월에 0.4%, 4월부터 5월에는 0.1%까지 떨어졌다.
이처럼 물가상승률이 둔화된 것은 코로나 충격에 민감한 상품과 서비스 가운데서도 수요에 민감한 상품과 서비스 물가가 크게 작용했다. 한은 조사국은 수요에 민감한 상품으로 의류·신발, 여행·숙박·외식 등 대면 서비스 관련 품목들을 지목했다. 수요민감품목의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1.3%에서 4월 중 -0.1%까지 떨어졌다.
조사국이 공개한 주요 품목의 올해 1~2월(코로나 이전) 대비 3~4월(코로나 이후) 가격과 구매량 변동 현황을 보면, 국내단체여행과 해외단체여행의 구매량은 최근 5년 평균 변동보다 각각 86.8%포인트, 80.1%포인트 더 감소했다. 놀이시설(-61.9%포인트)과 국제항공(-79.1%포인트)의 감소폭도 예년보다 컸다. 동시에 이들 품목의 가격이 1%포인트 이상 더 하락했다.
반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공급 충격이 유발돼 물가가 상승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여타 국가보다 코로나19 방역 대응이 원활했고 봉쇄의 강도가 덜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준으로 피아노(+2.6%포인트) 시계(+1.7%포인트) 등의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민감도에 따른 주요 품목 분류 <자료=한국은행>자료=한국은행>
상품 | 서비스 | |
---|---|---|
수요민감 (구매량·물가 변동 방향이 일치) |
의류, 신발, 가방, 기초화장품 | 음식서비스, 숙박료, 항공료, 여행비 |
공급민감 (구매량·물가 변동 방향이 반대) |
피아노, 손목시계, 국산 승용차 | |
모호 (구매량과 물가 변동 간 관계 불확실) |
가정용품, 주방용품, 주류, 레저용품 | 진료비, 세탁료, 대중교통비, 영화관람료, 휴대전화료 |
비민감 (모두 변동 없음) |
의약품, 담배, 저장장치, 프린터 | 전·월세, 하수도료, 공동주택관리비 |
다만 수요민감물가 상승율은 5월 이후로 점차 높아져 9월에는 0.6%로 상승했다. 박상우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은 "점점 수요민감 물가상승률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코로나19 전개 상황에 따라서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은과 통계청에 따르면 근원물가에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의 물가를 포함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들어 1%를 기록해 코로나 영향 이전 수준까지 올라왔다가 10월에는 0%대 초반으로 다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대규모 수해 등으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상승해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다. 에너지 품목의 경우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오히려 물가 상승률 둔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