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여성가족개발원, '부산 청소년
수련시설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시설 적고, 공간 협소, 보조금 낮아
코로나19 상황선 재정위기 심각
"시설 설치 법적 기준부터 지키고
일상적 생활공간 기능 강화해야"
코로나 시대, 청소년들의 야외 활동이 크게 줄면서 공공 수련시설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부산이 서울ㆍ경기지역에 비해 이런 ‘청소년 성장 공간’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청소년들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리더십과 시민의식을 높이고, 또래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공적 성격의 시설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이 같은 분석은 부산여성가족개발원(원장 성향숙)이 최근 발간한 연구보고서 ‘부산지역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책임연구 이진숙)를 통해 제시됐다. 개발원 측은 지역 청소년수련시설의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과 서울ㆍ경기지역 수련시설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청소년 및 관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분석 결과 현재 전국에 총 801개의 청소년수련시설이 설치된 가운데 서울 63개, 경기 154개, 경남 76개, 부산 24개로 부산이 인구나 도시 규모에 비춰 상대적으로 수련시설이 적은 편이다.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라 구ㆍ군별로 1개 이상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청소년수련관'의 경우 16개 구ㆍ군 중 50%에 해당하는 8개 자치구는 수련관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또한 읍, 면, 동별로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 '청소년문화의집'도 설치돼 있지 않은 자치구가 9개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의 경우 '청소년수련관'이 35개, '청소년문화의집'이 63개로, 부산의 4배가 넘었고, 강원도의 경우도 '청소년수련관'이 15개, '청소년문화의집'이 32개로 부산보다 훨씬 많았다.
시설 수 외에도 부산의 청소년수련시설은 서울ㆍ경기지역에 비해 다양한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우선 시설의 규모가 협소해 청소년 전용공간, 휴식공간으로써 기능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부산의 청소년수련시설은 서울ㆍ경기에 비해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휴식ㆍ소통 공간이 매우 부족했다. '청소년수련관'의 경우 평균면적이 전국평균(3,816㎡)보다 1,000㎡나 적은 2,853㎡에 불과했고, 부산의 월평균 직원수는 전국 전체시설의 평균인 21명보다 4명이 적은 17명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의 청소년수련시설은 설립주체(시ㆍ구)의 운영보조금 수준이 지나치게 낮아 공공시설로써 기능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낮은 운영보조금으로 고유 목적사업보다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을 개발해야 하는 상황이며,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상황에선 더욱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고 있다. 타 시ㆍ도에선 청소년재단을 설립해 안정적인 운영보조금을 출연하고 있으며, 청소년지도자들의 처우도 개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산지역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로 인해 부산의 청소년수련시설은 서울ㆍ경기지역에 비해 청소년지도자의 수가 적으며, 제공되는 청소년활동 프로그램도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연구보고서는 청소년수련시설이 청소년의 성장공간으로써 보다 활발하게 기능하도록 돕는다는 차원에서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증진방안을 제시했다. 부산지역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증진을 위해서는 우선 청소년수련시설 설치의 법적 기준을 준용, 시설의 타당성과 형평성을 증진시켜야 한다는 것. 또한 온ㆍ오프라인 접근의 용이성을 높여 일상적 생활공간으로써의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수련시설 공간의 리뉴얼과 기능개편, 청소년연계활동 개발 등을 통해 포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수용정원 대비 청소년지도자 확보율 정상화, 청소년지도자 처우개선, 안정적인 운영보조금 등을 통해 시설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진숙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은 "청소년기는 또래들과 함께 있고 싶은 욕구가 매우 강한 시기로, 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자유로운 활동 공간을 필요로 한다"면서 "청소년기가 미래를 위해 현재의 행복을 유예하는 시기가 아닌 만큼 부산의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성장 공간을 확대하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