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올해 2분기 전 세계 경제가 동반 침체에 빠졌지만, 이후 경제 재개와 동시에 이어진 회복세는 국가별로 다른 모습이다.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했거나, 산업 구조상 코로나19 충격이 덜했거나, 말 그대로 ‘부자 국가’라 부양 여력이 강했던 나라는 훨씬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후 경기 회복 과정에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라는 의미의 이른바 ‘K자형' 회복이 국가별로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3일 국제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세계 국가들이 대규모 봉쇄 조치를 취한 올해 4월 당시 전 세계 경제 규모는 약 20% 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후 봉쇄조치가 점차 해제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형태로 대규모 밀집을 금지하면서 서비스업이 손실을 보고 있고, 소비ㆍ투자 심리도 코로나 이전보다는 위축됐다. 하지만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면서 이와 연관된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차이는 국가별로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 방역에 성공적이고 경제활동도 유지하는 아시아 국가들이 비교적 높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중국이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2019년 대비 플러스 성장(1.8%)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중국과 베트남(1.8%), 대만(0.8%)등의 성장률을 높게 잡았다. 한국(-1.0%) 역시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성공하면서 봉쇄 조치의 강도가 상당히 낮았던 국가로 평가된다.
하지만 당연히 방역만이 전부는 아니다. 철저한 봉쇄로 코로나 확산이 비교적 덜한 태평양의 섬 국가들은 경제가 초토화됐고, 이탈리아(-10.5%)나 그리스(-9.0%ㆍ이상 EU 예측), 태국(-8.0%ㆍADB 예측) 등 서비스업과 관광업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이 더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반면 제조업이 상품 수요와 함께 빠르게 회복하면서 이들이 고도로 발달한 중국과 한국, 독일(-5.4%) 등은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마지막으로 경기 회복을 위해 막대한 경기부양책을 쓴 ‘부자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회복력을 보였다. 미국(-3.8%)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크지만 그 피해를 막기 위해 2조달러 이상을 집행하는 긴급구제법률(CARES Act)를 통과시켰는데 이는 미국 경제 규모의 10%에 해당한다. 여기서 나온 돈으로 가계의 구매력이 일정 수준 유지되면서 성장률 감소도 크게 완화됐다.
한국도 4차 추가경정예산까지 총 66조원을 투입해 연간 GDP의 3% 가량을 사용한 셈이 된다. 블룸버그는 17개 신흥시장의 주가를 조사한 결과 한국과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 등 상대적으로 1인당 GDP가 높은 ‘부유한 국가’들이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들보다 주가 수익률이 높았다고 지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