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더 낮은 대출 금리를 적용 받게 해주겠다며 적극 홍보하는 이른바 '최고 우대금리' 혜택을 받는 고객이 은행마다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대출 상품이라도 최고 우대금리를 받은 고객이 100명 중 1명 꼴에 그친 은행이 있는 반면, 다른 은행에서는 10명 중 6명이 최고 우대금리를 받았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5대 은행(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NH농협)의 ‘최고 우대금리 적용 고객 비중’ 자료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지난 6월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대표 상품의 최고 우대금리(연 1.4%포인트) 적용자가 전체 차주의 1.2%에 불과했다. 농협은행의 대표 신용대출 상품 역시 최고 우대금리(1.4%포인트) 적용 대상이 전체의 2.2%에 그쳤다. 우대금리가 그야말로 '생색내기'에 그친 셈이다. 대출 금리는 보통 기준금리에 은행별 가산금리를 더한 뒤 우대금리를 빼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은행의 우대금리가 높을 수록 더 적은 대출 이자를 내는 셈이다.
반면 신한ㆍ국민은행의 경우 주담대, 전세대출, 신용대출 중 가장 실적이 높은 상품 중 최고 우대금리를 적용 받는 비중이 모두 40% 이상이었다.
신한은행의 대표 주담대 상품 최고 우대금리는 연 1.0%포인트인데, 10명 중 6명(61.4%)이 이 금리를 적용 받았다. 대표 전세대출 상품의 최고 우대금리(1.0%포인트)를 받는 사람 역시 절반(56.2%)을 넘었다. 신용대출 중 대출잔액이 가장 큰 3가지 상품(우량 직장인용, 일반 직장인용, 일반 고객 대상)의 최고 우대금리 0.9%포인트가 적용되는 차주는 76.2%였다.
국민은행역시 주담대, 전세대출 대표 상품의 최고 우대금리(1.2%포인트)를 적용 받는 차주가 각각 40.4%, 52.1%로 나타났다. 대표 신용대출 상품의 최고 우대금리(0.9%포인트)를 받는 차주는 57.8%에 달했다.
윤 의원은 주요 시중은행들이 다양한 우대금리와 복잡한 적용 조건으로 은행별 금리 비교를 어렵게 해 고객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카드와 예ㆍ적금, 청약통장 가입 등 조건을 내세우며 자사 상품을 끼워 파는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주요 은행에서 최저금리를 받으려면 신용카드 사용 실적, 급여 이체, 공과금ㆍ관리비 자동이체 등 조건을 기본적으로 충족해야 한다. 특히 일단 대출이 나가면 장기간 은행을 바꾸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 같은 우대금리 정책이 업계의 경쟁을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만들어낸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 의원은 “은행들이 우대금리로 생색을 낼 게 아니라 기본 금리를 인하해 서민의 이자 부담을 경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