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부·울·경 메가시티', 동남권 새 성장 가져다줄 최적 전략"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부·울·경 메가시티', 동남권 새 성장 가져다줄 최적 전략"

입력
2020.08.19 13:39
0 0

부산상의, 광역 경제 공동체 촉구
"규모의 경제로 수도권 대응해야"
산업-기업 가치사슬 고도화 추진
산업·제도·공간 3대 전략 제시 등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최근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동남권의 협력을 전제로 광역 경제 공동체 형성의 성공 가능성이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부산상의가 이의 이행을 촉구하는 정책제안을 내놨다.

부산상의(회장 허용도)는 19일 ‘글로벌 경제에 대응하는 부ㆍ울ㆍ경 메가시티(Megacity) 추진’이라는 정책제안을 발표하고, 부ㆍ울ㆍ경 메가시티 구축을 통한 동남권역 경제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상의 관계자는 "이번 제안은 최근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과 관련, 지역경제계가 국가균형발전의 큰 틀에서 수도권 일극 집중 문제를 해소하고 수도권에 대응할 수 있는 광역 경제권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기획했다"면서 "과제 용역은 부산상의 정책자문위원을 맡고있는 부산대 김현석 교수가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 정책제안에서 부산상의는 최근 글로벌 주요 선진국이 거점 대도시를 중심으로 광역경제권을 형성, 창의적 인재의 정주여건 확보와 도시매력도 제고를 통해 지역 발전 전략을 수립 중에 있는 점을 주목했다.

이에 따라 부ㆍ울ㆍ경 지역도 기업 간의 가치사슬 고도화와 일자리 창출 등 대도시권역으로의 매력도 제고를 위해 글로벌 추세에 맞춰 광역 경제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특히 부ㆍ울ㆍ경 지역은 과거 국가의 고도성장을 주도한 거점 지역으로, 인구가 800만에 이를 뿐만 아니라 기존 산업간 유기적 분업관계가 형성돼 수도권에 상응하는 광역경제권으로서 높은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산상의는 부ㆍ울ㆍ경 메가시티 경제공동체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산업전략 △제도전략 △공간전략으로 세분화한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산업전략으로 중후장대형 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복합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와 공항-철도-항만이 연계된 복합물류시스템을 통한 물류허브 경쟁력 강화를 우선 제시했다. 또 수소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경제권 구축과 광역권에 산재한 연구개발시설 및 자원의 공동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꼽았다.

제도전략으로는 중앙과 지역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통합행정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부ㆍ울ㆍ경 통합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광역 차원의 공동현안사업 발굴을 강조하면서 일본의 간사이 유니온이 기업유치의 어려움을 광역적 차원에서 해결한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간전략으로는 부ㆍ울ㆍ경 신공항 건설과 KTX남해선 신설 등을 통한 동남권역으로의 접근성 강화와 부산을 중심으로 부ㆍ울ㆍ경 지역을 잘 연계해 동남권역이 국제관광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관광 시스템 도입을 제시했다.

부산상의는 이와 같은 전략들의 대표적 기대효과로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 및 생산력 분산을 통한 지역 경제의 재도약 기회 창출 △부ㆍ울ㆍ경 지역 제조업 혁신과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 가속화 △동남권역에 대규모 관광ㆍ마이스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관광거점으로의 도약 등을 예상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부ㆍ울ㆍ경 지역이 주력산업인 중후장대형 산업의 침체와 청년 인재의 지속적인 유출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등 자체 성장 기반 창출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세 지역이 광역경제권으로 나아간다면 인프라 구축 및 산업과 기업간 시너지 효과는 물론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동남권역 경제 전반에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며,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에도 제대로 부합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목상균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