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전·세종 아파트값 가파른 상승, 3년새 100% 오른 단지도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전·세종 아파트값 가파른 상승, 3년새 100% 오른 단지도

입력
2020.08.18 15:36
수정
2020.08.18 15:55
0 0

대전경실련, 30개 단지 실거래가 조사
대전아파트 평균 53%, 세종 58% 올라
투기목적 따른 가수요 작용… 실수요자 위한 대책 필요

대전경실련 회원들이 18일 대전시청 앞에서 최근 3년간 대전과 세종지역 아파트 가격 인상률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대전경실련 제공

대전경실련 회원들이 18일 대전시청 앞에서 최근 3년간 대전과 세종지역 아파트 가격 인상률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대전경실련 제공


최근 3년간 대전지역 아파트 가격은 평균 53%, 세종지역 아파트 가격은 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 일부 아파트 단지의 경우 100%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전경제정의실천연합은 대전지역 5개 자치구별로 5개단지씩 25개 단지, 세종지역 5개 단지를 선정해 2017년부터 매년 6월 거래된 전용면적 84㎡(32평형) 크기의 아파트 가격변화를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8일 밝혔다.

가격조사는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했다. 세종지역은 행정수도 이전 논의 이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올해 7월과 8월 시세를 추가 조사했다.

대전지역 전체 평균 아파트 시세는 현정부 출범 초기인 2017년 6월 2억8,100만원에서 2018년 2억9,600만원으로 올랐고, 2019년 3억3,800만원, 올해 4억3,200만원으로 상승했다.

자치구별로는 유성구가 3억4,900만원에서 6억3,000만원으로 80.3%가 올라 가장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서구가 3억1,500만원에서 5억2,700만원으로 67.3%, 중구가 2억9,300만원에서 4억6,800만원으로 59.5%가 올랐다.

반면 동구는 2억2,600만원에서 2억8,000만원으로 23.9%, 대덕구는 2억2,400만원에서 2억5,300만원으로 13% 오르는데 그쳤다. 아파트 가격 상승에서도 동서격차가 나타났다.

가장 높은 가격상승 아파트는 중구 오류동 삼성아파트로 2017년 6월 2억3,800만원에서 올해 5억700만원으로 113%가 올랐다.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주상복합 2단지와 서구 둔산동 크로바아파트가 각각 107% 상승했고, 유성구 죽동 대원칸타빌 아파트도 98%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동구 판암동 아파트단지와 대덕구 송촌동, 비래동 아파트 단지의 경우 10% 미만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세종시의 경우 2017년 3억6,000만원에서 올해 8월 5억6,800만원으로 평균 58% 상승했으며, 소담동 M단지가 4억2,500만원에서 7억2,000만원으로 6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시에서는 행정타운이 밀집된 신도시와 옛 연기군 중심지였던 조치원 아파트단지간 가격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조치원 X단지가 1억8,500만원, 소담동 M단지가 4억2,500만원으로 2억4,000만원의 격차가 있었으나 올해 8월에는 조치원 X단지가 3억1,200만원, 소담당 M단지가 7억2,000만원으로 가격 차이가 4억800만원으로 늘었다.

다만 조치원 X단지는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나오면서 거래량이 많지는 않지만 올해 6월 2억1,800만원에서 이달 3억1,200만원으로 2개월만에 42.5%가 올라 최근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대전경실련은 대전지역 아파트의 동ㆍ서간 격차는 세종시 인근이라는 지역특수성에다 유성구와 서구 중심의 각종 개발계획 발표와 사업이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동구와 대덕구 지역의 아파트 오름세는 혁신도시계획과 대전역세권 개발계획 발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기획위원장은 "공급물량이 상당한 상황에서도 대전ㆍ세종지역 아파트 가격이 오르는 것은 실수요보다는 투기목적의 가수요가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허택회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