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 김영록 전남지사가 10일 오후 구례군 구례읍 구례5일장에서호우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김 지사는 곡성군·구례군·담양군·화순군·장성군·영광군·나주시등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전날에 이어 재차 정부에 건의했다. 전남도 제공
"정치인들의 재난현장 방문 금지법이라도 만들었으면 좋겠다." "정치인들이 피해 실태를 두 눈으로 똑똑히 봐야 특별재난지역 선포에도 도움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정치인들의 수해 복구 현장 방문을 두고 피해 주민들과 누리꾼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정치인들의 '수해복구 인증샷'이 도마에 올랐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그 중심에 섰다. 심 대표는 지난 7일 경기 안성시 죽산면 산사태 현장을 찾아 복구활동에 참여한 소식과 함께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가 "또 사진 찍으러 갔느냐"는 역풍을 맞자 사진을 삭제했다. 당시 누리꾼들은 사진 속 깨끗한 심 대표의 옷과 장화를 문제삼으며 "이런 작업하실 때는 카메라는 가져가지 말아라", "토사를 퍼내고도 신발이 깨끗한데 사진을 올리지나 말든지"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정치인들이 수해의 원인 규명과 예방 대책은 내놓지 않고 '낯내기' 식 수해 복구 현장 방문이 무슨 도움이 되겠냐는 비판이었다.
미래통합당 지도부가 지난 10일부터 이틀째 전남 구례 등 수해현장을 찾아 복구작업에 참여하면서 '재난지원금 인상' 등 재해 대책을 언급했지만 주민들은 크게 기대하지 않는 눈치다. 당장 여야 협의와 정책 개선 방안이 필요할 텐데 이에 대해선 입도 뻥끗하지 않아서다.
반면 국회의원과 고위 공무원들의 수해 현장 방문을 반기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실제 전남 구례와 담양, 전북 남원 지역 이재민들은 지난 10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수해 현장에 모습을 나타내자 반가워했다. 정부 차원의 조속한 피해복구와 재정 지원에 대한 기대를 건 것이다. 정 총리는 이날 가는 곳마다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는 노력이 대한민국의 자랑"이라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정부도 함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서울로 복귀한 정 총리는 "전남ㆍ북 등 (집중호우로) 피해가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선제적으로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는 것이 피해지역 주민의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면서 "신속히 절차를 진행하라"고 지시했다. 구례 5일장에서 상가를 운영한 김모(61)씨는 "천재지변이 났을 때 국민의 어려움을 줄이는데 정부 차원의 노력에 그나마 힘이 난다"며 "여야 국회의원들도 피해지에 방문하고 나서, 이번 만큼은 정치쇼가 아니길 믿고 싶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