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학가, 잇따른 시험 부정행위… “시스템 문제” vs “어쨌든 큰 잘못”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학가, 잇따른 시험 부정행위… “시스템 문제” vs “어쨌든 큰 잘못”

입력
2020.06.23 16:01
0 0

[SNS눈] 코로나19 속 대학가 온라인 기말고사 치르면서 부정행위 잇따라 적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대학들이 기말고사를 온라인 시험으로 치르면서 부정행위가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이를 두고 누리꾼 사이에선 “시험 방식이 문제”라는 의견도 있었지만 대다수는 “부정 행위에 면죄부가 될 순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3일 대학가에 따르면 중앙대에서는 한 법학 과목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채팅방을 통해 일부 학생들이 부정행위를 모의한 것이 드러났다. 앞서 치러진 이 과목 중간고사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시험 문제가 공개되면 단체 채팅방을 통해 판례를 찾아주고 속기록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방식으로 중간고사를 무사히 치른 학생들이 기말고사를 앞두고 다른 학생에게 함께 부정행위를 할 것을 권유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카톡방에 동명 이인을 초대하면서 부정행위 모의 정황이 외부에 드러나게 됐다.

중앙대 관계자는 “해당 과목이 개설된 단과대에서 사실을 인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부정행위를 모의했거나 실행했을 경우 대학 방침은 공지한 대로 무관용 원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온라인으로 치러진 한국외대 교양과목 기말고사에서도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정답이 수강생들 사이에 공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700여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이 채팅방은 부정행위 논란이 벌어진 뒤 ‘폭파’(대화방을 모두 나감)돼 누가 참여했는지, 몇 명이 부정 행위를 저질렀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 교양과목 수강생은 서울캠퍼스와 글로벌캠퍼스를 모두 합쳐 2,000여명에 달한다. 중간고사에서도 유사한 부정행위가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말고사에서는 서술형 문제를 추가했지만 결국 부정행위를 막지 못했다. 학교 측은 “중간고사 이후 담당 교수가 공지사항으로 부정행위에 관한 경고를 한 적이 있다”며 “해당 과목 기말고사는 재시험을 치를 것이며 웹캠을 통해 시험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등 부정행위를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외대 외에 서울대와 서강대, 연세대, 성균관대, 시립대 등에서도 최근 온라인 강의로 시행 중인 과목에서 답지 공유, 과제물 베끼기 등 부정행위가 벌어져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기말고사 방식의 문제라는 의견이 올라왔다. “컨닝한 애들 욕 못하겠다. 나라도 했다”(Ro***), “저건 시험방식, 시스템 문제지. 저 자체로 비난할 순 없다”(동**) “이 과목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온라인 강의여서 단톡으로 답을 공유 했는데 이번에 걸린 거다”(김**) 등 시험 제도를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시험방식의 문제도 맞지만 부정행위는 안 된다”(동**), “온라인 시험이니까 부정행위 해도 된다는 건 비리 정치인들 마인드와 똑 같은 거다”(뜨**), “학점이 양심을 저버릴 만큼 중요한 가. 컨닝하는 거를 이해를 못하겠다”(안***) 등 부정행위 자체를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고은경 기자
임수빈 인턴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