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이 오래 지속되면 뇌종양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영호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1998~2018년에 '측두골 수막종' 진단을 받은 13명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난청과 귀먹먹감이 지속되는 중이염을 오래 앓으면 뇌수막종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이비인후과학회지(The Laryngoscope)에 발표했다.
뇌수막종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지주막 내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대부분의 수막종이 대뇌를 덮고 있는 천막 상부에서 발생하는 것과 달리, 측두골 수막종은 귀를 포함한 두개골 부위인 측두골 부분에서 생긴 종양으로 매우 극소수에서 발생한다.
분석 결과, 환자의 92.3%가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52.5세였다. 주증상으로는 청력 손상이 83.6%로 가장 많았고, 이명과 귀 먹먹감, 귀분비물(이루)이 각각 69.2%, 38.5%, 30.8%였다.
김 교수는 측두골 수막종의 주증상이 중이염과 같은 이비인후과 질환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13명의 환자 가운데 76.9%에 해당하는 10명은 초기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TBCT) 검사 및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통해 측두골 수막종이 진단된 반면, 나머지 3명의 환자는 초기 진단 과정에서 만성 중이염으로 판단돼 이후 수술을 통한 조직검사에서야 측두골 수막종이 진단됐다.
연구진은 해당 환자들에서 뇌질환으로 의심되는 일반적인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초기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에서도 종양이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아 이비인후과적 증상을 토대로 만성 중이염이 의심됐을 것으로 추측했다.
김 교수는 "측두골 수막종은 뇌종양의 증상을 특징할 수 있는 징후가 마땅치 않고, 일반인의 인식도 낮은 질환"이라며 "이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고, 환자는 이를 단순한 이명이나 난청 증상으로 오인해 방치할 우려가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뇌수막종이 악화되면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를 위해 의료진과 환자가 경각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