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다시 중대 고비를 맞았다. 감염 양상이 4월 초 이전으로 돌아간 듯 무서운 확산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과 수도권은 이태원 클럽과 인천 학원강사발(發) 전파에 이은 부천 쿠팡 물류센터 집단감염으로 위기에 처했다.
28일 낮까지 쿠팡 관련 확진자는 82명으로 집계됐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도 지난달 5일(81명) 이후 최대 규모인 79명을 기록했다. 이는 정부가 정한 ‘생활 속 거리 두기’ 전환 기준(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 50명)을 넘어선 것이다. 쿠팡 물류센터 근무자가 1,300명인 만큼 n차 감염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예측 불허 상황이다.
특히 쿠팡의 경우, 최초 확진자가 증상 발현 전날인 이달 12일까지 근무한 것으로 확인돼 동료 직원은 물론, 그들 가족과 접촉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코로나19는 증상이 나타나기 직전 전파력이 가장 강력하다. 감염 확산에는 직원 안전에 안이하게 대처한 쿠팡 측 책임이 크다. 24일 오전 첫 감염자를 확인하고도 선별 자가격리 같은 최소한의 방역 조치도 없이 직원들을 정상 출근시켰다.
정부는 연쇄 감염의 고리를 차단하기 위해 다음 달 14일까지 수도권 공공 다중 이용시설 운영을 중단하기로 했다. 향후 2주 간 수도권 집단 전파를 막지 못할 경우 예전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로의 회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무엇보다 학교가 걱정이다. 교육부는 학내 감염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도 등교 중단 여부는 교육감 결정에 맡긴 상태인데, ‘플랜B’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감염에 취약한 밀집시설에 대한 방역 보완책 마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방역 당국은 뒤늦게 수도권 사업장의 근무 밀집도 완화, 사업장 내 공용공간 이용 시 마스크 착용, 흡연실 사용 금지, 구내식당 가림막 설치와 분산 운영 등을 권고했지만, 더 면밀하고 강제력 있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 지역 감염 우려가 계속 제기됐음에도 물류센터 같은 취약 사업장의 방역수칙 이행 여부를 제대로 점검했는지 차후에라도 분명히 책임 소재를 따져야 한다. 사업자나 시민에게 방역 수칙 준수를 요청하는 것 못지 않게 방역 당국도 책무를 소홀히 하지 말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