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독립조사기구 구성 제안… 120여개국 동참해 中 압박
시진핑 “코로나 통제 이후 WHO 주도로 평가해야” 반박
서방국가, 대만 옵서버 참석 위해 중국 압박… 끝내 무산
文 대통령 “코로나 전쟁 이길 강력한 무기는 연대와 협력”
미국과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 이후 처음으로 다자무대에서 격돌했다. 양측은 코로나19 발원지 조사 방식과 대만의 세계보건기구(WHO) 옵서버 지위 회복 등을 놓고 정면충돌했다.
코로나19 대처 과정에서 중국 편향 논란에 휩싸인 WHO가 18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화상회의 방식으로 의사결정기구인 세계보건총회(WHA)를 시작하자 미국과 그 우방국들은 파상 공세를 퍼부었다. 초점은 ‘코로나19 책임론’의 핵심인 발병 원인을 누가 규명하느냐였다. 호주가 제안한 독립조사기구 구성에 194개 회원국 중 120여개국이 동참해 중국과 WHO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회원국 3분의 2 이상(130개국)이 찬성하면 독립기구 설치가 가능하다.
반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기조연설에서 “코로나19를 통제한 이후 전 세계의 바이러스 대응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면서 “WHO가 주도해 과학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립기구는 적절치 않으며 코로나19 발원 조사도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그는 또 “중국이 개발하는 백신을 글로벌 공공재로 공급해 개발도상국의 접근성을 높일 것”이라며 향후 2년간 20억달러(약 2조4,700억원)의 ‘통 큰’ 기부도 약속했다. WHO 분담금을 끊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총회에 앞서 대만의 참석 여부가 논란이 됐다. 미국ㆍ영국 등은 “방역 모범국인 대만의 참석은 당연하다”며 WHO를 압박했고, 대만의 수교국인 과테말라ㆍ온두라스 등도 대만의 옵서버 자격 회복을 요구했다.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2009년부터 의결권 없는 옵서버 자격으로 WHA 참석했던 대만은 2017년부터는 중국의 반대로 이마저도 무산된 상태였다. 대만은 이번에도 중국의 반대로 초청장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논란만으로도 충분한 대중 압박 효과를 거뒀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코로나19는 인류공동의 가치인 ‘자유의 정신’까지 위협하지만 이에 기반한 ‘연대와 협력’이야말로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도전과 위기의 순간에 한국 국민들은 담대한 선택을 했다”면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유를 모두를 위한 자유로 확장시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WHO 국제보건규칙을 비롯한 관련 규범을 빠르게 정비하고 기속력을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는 코로나19 국면에서 WHO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연관된 발언으로도 볼 수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어떤 국가도 코로나19에 대한 해법을 홀로 찾을 수 없다”며 국제사회의 협력을 강조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코로나19와 맞서기 위해서는 강력한 WHO와 백신에 대한 동등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rollings@hankookilbo.com
신은별 기자 ebshi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