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 84명 중 40명 해당… 계파 없어 독자적 목소리 가능
총선 참패에 따라 21대 국회에 입성하는 미래통합당 초선 당선자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의석 수는 줄어들고 당세도 위축됐지만 무너진 보수 재건의 원동력은 결국 이들로부터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19일 본보가 21대 총선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번에 처음으로 배지를 달게 된 통합당 소속 지역구 의원은 총 40명이다. 전체 지역구 당선자(84명)의 절반에 해당한다. 겉으로 드러난 조건만 보면 보수 재건을 위한 쇄신에 이들이 딱 들어맞는다고 보기는 힘들다. 일단 평균 연령은 54.1세로, △30대 1명 △40대 9명 △50대 22명 △60대 8명이다. 30ㆍ40대가 25%에 불과해 연령 분포만 보면, 역동성과는 거리가 멀다.
비상대책위원장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총선 직후 “1970년대 후반에 태어난 혁신할 수 있는 자질을 가진 사람이 튀어나왔으면 좋겠다”고 했지만 그런 토양과는 거리가 있는 셈이다. 초선 가운데 직업과 지역별로 보면 전직 관료 출신이 상당수 되는데다 60% 이상이 영남지역에 쏠렸다는 점도 한계다. 수도권 지역에서 당선된 초선 의원은 10명으로 25%에 불과하다. 전국정당으로 확장을 해도 힘든 판에 가장 우려하던 영남만을 대표하는 지역정당 이미지마저 겹치게 됐다.
다만 이들이 과거와 달리 계파 색채가 없다는 점은 기회 요인으로 꼽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당 내부에서는 전국단위 선거 때마다 친박계와 비박계간 갈등이 고질병처럼 재현됐다. 하지만 21대 총선 공천에서 특정 계파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희석되면서 이전과 달리 초선 의원들이 계파 갈등에서 자유롭게 시작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대해 통합당 관계자는 “과거에는 초선 의원들이 친이, 친박, 비박계 등 계파 지원을 받아 당선되면서 특정 계파의 거수기 노릇에 그쳤다”며 “그러나 이번에는 초선 의원들이 독자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는 점에 기대를 건다”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과거 미래연대(16대 국회)나 새정치 수요모임(17대 국회), 민본21(18대 국회)과 같은 당내 초ㆍ재선 중심의 ‘쇄신 모임’이 부활할 지 여부도 주목하고 있다. 당내 현안에 직언을 아끼지 않았던‘쇄신 모임’이 흐지부지된 시점에 통합당도 몰락의 길을 걸었다. 19대 국회‘아침소리’(새누리당), 20대 국회 ‘통합ㆍ전진’(자유한국당) 등 초재선 모임이 있었지만 당을 구하는 데 뚜렷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에 ‘보수의 위기’를 실감하게 된 초선 당선자들은 쇄신 의지를 밝히고 있다. 부산시의원 출신인 황보승희(43ㆍ부산 중ㆍ영도) 당선자는 본보 통화에서“시의원 출신으로 풀뿌리 민심을 더 빨리 정확하게 파악하는 장점이 있다”며 “개혁 의지가 있는 분들과 함께 40대 초선으로 쇄신과 혁신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배준영(49ㆍ인천중ㆍ강화ㆍ옹진) 당선자도 본보 통화에서 “수도권에서 참패한 선거 결과가 보여주듯 쇄신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며 “조직 내에 ‘건전한 야당’이 없으면 존립 위기에 처할 수 밖에 없다. 뜻이 맞는 분들과 쇄신, 혁신의 키워드를 가지고 활동하고 싶다”고 말했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