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ㆍ한국리서치 총선前 마지막 여론조사]
“정책 실패 때문” 44% “코로나 때문” 38%
유권자 10명 중 6명은 한국 경제 상황이 1년 사이 악화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가 나빠진 원인을 두고 ‘현 정부의 정책 실패 때문’이라는 답변은 절반에 미치지 못한 44.3%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상황’(37.7%)과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10.7%) 등의 답변을 합치면 47.7%에 달했다. 4ㆍ15 총선을 앞두고 미래통합당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실정론’을 집중 부각하고 있지만 유권자들은 경제 악화를 100% 정부 탓으로 판단하고 있지 않은 셈이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7, 8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국가경제 상황이 어떻게 변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7.2%가 ‘나빠졌다’고 답했다. 지난해 12월 29, 30일 한국일보ㆍ한국리서치 조사(49.1%)와 비교해도 경제 인식 부정 응답 비율은 8.1%포인트 상승했다.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는 답은 23.8%, ‘좋아졌다’는 14.2%에 그쳤다.
세대별로는 보수 성향이 강한 50대와 60세 이상에서 ‘나빠졌다’는 인식이 각각 56.4%와 65.8%로 높았다. 문 대통령 지지세가 강한 3040세대에서도 부정 평가가 각각 54.6%, 48.8%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자 중에서도 국가경제가 좋아졌다는 답변 비율은 각각 24.4%, 22.4%에 그쳤다.
하지만 국가경제가 악화됐다고 답변한 사람을 대상으로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인지 묻자 ‘현 정부의 정책 실패’(44.3%)와 ‘코로나19 여파’(37.7%) 응답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정책실패보다는 ‘구조적 문제’라는 답변도 10명 중 1명 꼴이었다. 경제악화 책임 인식이 분산된 셈이다.
특히 20대의 경우 코로나19 답변(54.5%)이 정책 실패 답변(30.9%)보다 많았고, 30대에선 구조적 문제 답변이 24.4%로 나왔다. 정한울 한국리서치 전문위원은 9일 “보수야당의 주장과 다르게 국민들은 경제악화의 모든 책임을 정부에 돌리지 않고 외부 요인이나, 구조적 문제를 균형감 있게 이야기하고 있다”며 “야권의 경제실정론 및 정권심판론이 잘 성립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지난 1년 가정경제 상황 평가 질문에는 ‘매우 나빠졌다’가 22.0%, ‘약간 나빠졌다’가 16.5%였다. 부정 평가(38.5%)가 긍정 평가(16.2%)의 두 배를 넘었다.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는 응답은 44.8%였다. 직종별로는 자영업자(57.6%) 생산ㆍ기능ㆍ노무직(48.0%) 등에서 부정 평가가 많았다. 반면 ‘화이트 칼라’인 사무ㆍ관리ㆍ전문직에선 ‘나빠졌다’는 응답 비율이 27.3%에 그쳤다.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ㆍ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4월 7, 8일 이틀간 조사했다. 안심번호를 바탕으로 한 유ㆍ무선전화 임의걸기방식(RDD)을 사용했고, 응답률은 13.3%(총 7,513명과 통화해 유선 185명, 무선 815명 등 1,000명 응답완료)였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0년 3월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권역ㆍ성ㆍ연령별 셀 가중 방식으로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