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발병 사건이 집단생활시설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감염병에 취약한 요양원의 현실이 수치로도 확인됐다. 정부가 지난해 전국의 장기요양기관 실태를 조사한 결과, 1인실은 전체 생활공간의 3.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의 2019 장기요양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방문요양 이용자ㆍ요양원 입소자 등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자의 현황에 대한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며 앞으로 3년마다 시행한다. 이번 조사에선 전국의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6,000명과 그 가족 4,935명, 장기요양기관 2,000곳이 조사대상에 포함됐다.
조사 결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등 관련 이용자의 70.3%는 재가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었다. 시설 이용자(29.7%)의 90.6%는 노인요양시설을, 9.4%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이용했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84.2%였으나 공동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68.7%로 낮게 나타났다. 전체의 55%가 4인실을 이용하고 있어 집단감염에 취약한 상황이다.
이용자들은 당뇨병과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평균 3개씩 앓고 있어 신종 코로나에 감염되면 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았다. 장기요양제도가 원칙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만큼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고혈압(60.3%) 치매(57.2%) 당뇨병(29.3%) 골관절염 및 류마티즘(27.8%) 뇌졸중(25.8%) 순서로 유병률이 높았다. 만성질환을 5개 이상 앓는 사람의 비율도 21.3%에 달했다.
시설 이용자 가족들은 시설이 더욱 깨끗해지기를 바랐다. 시설 이용자 가족의 22.5%가 식사와 위생, 청결을 앞으로 원하는 지원사항으로 꼽았다. 의료나 재활서비스를 원한다는 응답도 48.9%에 달했다.
수급자의 72.8%는 여성이었고 평균연령은 81.8세였다. 80세 이상 고령 수급자가 전체의 65%를 차지했다. 70대(25%)와 65~69세(4.7%), 65세 미만(3.7%)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장기요양보험은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을 앓아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수급자격을 주고 있다.
김민호 기자 km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