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개인은 ‘사자’ 외국인은 ‘팔자’… 한숨 돌렸지만 첩첩산중 코스피, 어디로 갈까

알림

개인은 ‘사자’ 외국인은 ‘팔자’… 한숨 돌렸지만 첩첩산중 코스피, 어디로 갈까

입력
2020.03.30 01:00
18면
0 0

 

[3월 코스피 주가 추이. 김문중 기자
[3월 코스피 주가 추이. 김문중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패닉에 빠졌던 코스피가 지난 주 반등에 성공하면서 향후 전망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바닥을 다지고 올라선 만큼 추가 상승을 기대하는 전망과 한숨은 돌렸지만 갈 길이 너무 멀다는 비관론이 교차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수급(외국인 매도)과 △실물경기 지표 △코로나19 확산세 등이 다음주 주가 방향을 가늠할 변수로 꼽는다.

 

 ◇여전히 ‘큰손’인 외국인, 언제 돌아올까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지난 27일까지 17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12조원이 넘는 외국인 자금이 국내 증시를 빠져나갔다.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 수준의 유례 없는 강한 매도세다. 주목할 점은 대내외 호재에 지수가 반짝 폭등했던 지난 20일(7.44%), 24일(8.60%), 25일(5.89%)에도 외국인들은 어김없이 한국 주식을 팔았다는 점이다.

개인 투자자들이 이달에만 10조원어치 물량을 사들이며 역대 순매수 기록을 갈아치웠지만 그만큼 지수가 오르지 않았던 이유도 외국인 매도에 원인이 있다. 전문가들은 코스피 시가총액 비중이 38%에 달하는 외국인들이 ‘팔자 행진’을 멈추지 않는 한 주가 상승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개인 매수만으로 증시를 떠받치는 것은 한계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한국 주식 매도는 글로벌 위험자산 정리 움직임의 일환”이라며 “이는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살아나야 외국인들이 매수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속속 나오는 실물경제지표, 얼마나 나쁠까 

코로나19 여파가 반영된 실물지표도 증시를 억누르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악화된 각종 경제지표들이 속속 확인되면서 투자심리가 다시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의 주간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지난 26일 사상 최고치(셋째 주 기준 328만명)를 기록한 데 이어 넷째 주(내달 2일 발표) 예상치 역시 역대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발표 예정인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가들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경기위축의 폭과 깊이에 대한 비관적 전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

이번 주 발표 해외 주요경제지표. 김문중 기자
이번 주 발표 해외 주요경제지표. 김문중 기자

문제는 해외 주요국의 실물경기는 국내 증시 대장주들의 실적과 직결된다는 점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주가 한국 증시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기업의 생산품을 받아줄 해외의 경제사정에 따라 주가도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증권사 한 연구원은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가 잦아든 것은 사실이지만 실물경제 충격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는 점도 강력한 변수로 꼽힌다. 바이러스의 확산이 잦아들면서 경제활동이 회복돼야 이번 사태에 따른 증시 조정이 어느 선에서 마무리될 수 있는 지 가늠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내셔널FC스톤의 요세프 아바시 미국 기관 주식 담당 이사는 경제매체 마켓워치에 “현재의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은 중요하지 않다”며 “경제가 언제 다시 반등할 수 있을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 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조아름 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