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때 지어진 ‘난추신원(南楚新聞)’에 “바이위에런(百越人)은 개구리를 즐겨 먹는다”는 구절이 있다. 바이위에런은 현재 중국 구이저우성 한 켠에 모여 사는 소수민족이다. 중국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개구리 식용 문화가 당대 이전부터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전역의 개구리 양식업자는 100만명(2016년 기준)에 달한다. 지난해 생산량은 50만톤, 관련 음식점은 2만개를 넘는다. 개구리 양식과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체 산업 규모는 2,000억위안(약 34조원)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국 전역을 휩쓸면서 철퇴를 맞았다. 지난달 24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야생동물의 거래와 식용을 금지한다”고 결정했다. 기존엔 국가가 지정했거나 불법 유통된 야생동물만 대상이었지만, 코로나19 감염의 주범으로 야생동물이 지목되면서 비난여론이 빗발치자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이에 개구리가 금지 대상에 포함되는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전인대 상무위가 “일반 가축과 모든 어류는 먹을 수 있다”고 허용했지만, 양서류의 식용 범위에 대해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야생동물보호협회가 중국인들의 화를 돋웠다. 성명을 내고 “양식한 야생동물은 코로나19 위험에서 안전하다”고 주장한 것까지는 그렇다 쳐도 “광우병과 돼지 콜레라가 무서워서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하느냐”고 수위를 높였다가 반발이 거세자 하루만에 사과문을 내고 고개를 숙였다.
광둥성 선전시가 지난달 26일 식용 가능한 9종의 동물 목록을 발표하자 개구리 양식 농가들은 더욱 수세에 몰렸다. 개구리ㆍ거북 등 남부지역에서 각광받는 식용동물이 제외된 것이다. 시정부는 위반시 최대 2만위안(약 340만원)의 벌금을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농민들은 억울할 수밖에 없었다. 정부의 빈곤구제 정책에 맞춰 수십 년간 양식에 동참해왔는데 졸지에 생계를 위협받게 됐기 때문이다. 광둥성과 하이난성 등에서 주민 1,000여명이 청원에 서명한 것 외엔 별다른 수가 없었다. 인터넷 여론조사에서 ‘식용 금지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는 동물’을 물었더니 개구리가 1위, 자라가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인들의 애정은 여전한 가운데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떤 지침을 내놓을 지가 관건이었다.
중국은 1959년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가 쿠바로부터 황소개구리 5마리를 선물받은 뒤 양식에 나섰고 1980년대 들어 광둥ㆍ쓰촨ㆍ후난성 등지에서 대량 보급에 성공했다. 다만 기업형이 아닌 주로 소규모 농가 중심이다.
마침내 중국 중앙정부가 입을 열었다. 농촌농업부는 5일 “거북과 개구리는 수생동물에 속한다”며 “양식한 자라ㆍ거북ㆍ황소개구리ㆍ미국개구리 등은 먹어도 된다”고 밝혔다. 마음 졸이던 농민들은 그제서야 한숨 돌렸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rolling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