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5 총선 공천을 둘러싸고 정의당이 복잡하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으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오히려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정책검증대회를 열어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겠다는 구상까지 밝혔지만, 특정 집단에 좌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례대표에 대한 관심은 확연히 늘었다. 정의당은 19일까지 비례대표 후보에 40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20대 총선 11명보다 4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비례대표 후보 개방형 경선을 위한 시민선거인단에도 총 12만명이 신청했다.
늘어난 관심만큼 후보자 선출에도 차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외부 시민사회단체와 청년을 중심으로 60명 규모의 무지개배심원단을 꾸렸다. 후보자간 정책검증대회(Ted-3분 강연 방식)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력서’ 투표가 되지 않도록 비례대표 후보들을 정책으로 걸러내겠다는 취지다. 23일, 29일 두 차례에 걸쳐 정책검증대회를 가진 뒤, 다음달 초 온라인과 현장투표 등을 거쳐 비례대표 후보자가 확정된다.
하지만 고민도 적지 않다. 비례대표 후보 개방형 경선은 권리당원 투표(70%)와 시민선거인단 투표(30%)로 진행된다. 3만7,000여명의 권리당원 표의 비중이 크지만, 17일 마감한 시민선거인단 12만명도 무시할 수 없다. 최근 정의당 지지를 선언한 민주노총의 지지를 받는 후보가 다수 당선되면 다양성이 실종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 등 이날까지 최소 5명 이상의 노총 관계자들이 후보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내부에서는 12만명의 시민선거인단 중 적지 않은 수의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가입했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김종민 정의당 부대표는 이날 통화에서 “20대 총선과 달리 알려지지 않고 조직이 없는 후보도 당선될 수 있게 하려는 게 정의당식 정책검증대회 도입의 취지”라며 “내부에서는 특정 조직이 유리하다고 보지 않고 오히려 예측불허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심이 집중되는 비례대표 후보와 달리 외면 받는 지역구 후보 공천도 걱정거리다. 이날까지 지역구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접수한 후보는 73명에 불과하다. 심상정 대표가 253개 지역구 중 50% 이상에 후보를 내겠다고 했지만, 이 같은 추세라면 이를 채우기에 역부족이다. 한 지역구 예비후보는 “진보개혁 세력의 토양을 다지고 대중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구 도전도 중요한데 온통 관심이 비례대표에만 쏠려 있다”며 “전체 지역구 중 50% 이상 후보를 낸다고 한 심 대표의 발언은 실현이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고 했다.
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