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주간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격리 생활을 한 아산 교민들에게는 적지 않은 구호물자가 전달됐다.
격리시설 선정 과정부터 전세기 파견, 귀국, 입소까지 국민적 이목이 집중된 만큼 전국 각지에서 지원이 답지한 덕분이다. 다양한 생필품은 물론이고 아이들을 위한 장난감과 격리시설의 무료함을 달래줄 도서 등도 지원 물품에 포함됐다. 물론 그들이 겪었을 고독감과 감염에 대한 불안감을 생각하면 아무리 풍족한 지원 물품이라도 부족했음은 당연하다.
우한 교민처럼 특별한 경우 외에 자택에서 자가격리 중인 이들에게는 어떤 물품이 지원되고 있을까.
전국 지방자치단체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자가격리 조치된 시민들에게 음식과 생필품 등을 준비해 전달하고 있다. 대부분 격리 당사자가 요구하는 물품을 담당 공무원이 구매해 박스를 채우고 ‘배달’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지자체가 전달해 온 지원 물품 박스를 살펴보면 즉석밥과 라면, 생수 등 간편식은 필수 품목에 속한다. 여기에 마스크와 손 세정제, 화장지 등 위생 용품도 단골 품목이다. 사람에 따라 콩나물이나 양파, 식용유, 두부와 같은 식재료 지원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드물지만 기본 생필품에 더해 홍삼 제품과 같은 면역 강화 식품이 포함되기도 한다.
지원 물품의 종류와 양, 제품의 브랜드가 지역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지자체에서 편성한 긴급복지예산 규모에 따라 가구당 지원 물품 구매 한도가 다르기 때문인데, 예를 들면 서울 시내 자치구의 경우 대부분 10만원 이내인 데 비해 전북 군산시의 경우 20만원대까지 구매가 가능하다. 사진상으로만 봐도 군산 지역 자가격리자에게 전달되는 물품의 규모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지원 물품 전달은 마치 ‘007 작전’처럼 이루어진다. 일회용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한 담당 공무원이 자가격리자의 자택 앞에 지원 물품 박스를 내려 놓고 다른 장소로 이동한 후 전화로 통보하면 격리자가 수거하는 순서를 따른다.
이처럼 최대한 눈에 띄지 않고 조심스럽게 전달하는 이유는 격리자와의 대면 접촉을 피하는 동시에 자가격리자의 존재를 이웃들에게 알리지 않기 위해서다. 자가격리자의 존재가 이웃에게 알려질 경우 불안감이 조성되고 또 다른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류효진 기자 jsknigh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