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젊다고 안심하다간… 30대 고혈압 환자 80%, 병 걸린 줄 몰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젊다고 안심하다간… 30대 고혈압 환자 80%, 병 걸린 줄 몰라

입력
2020.02.11 05:00
수정
2020.02.17 18:22
22면
0 0

병 인지 30대 20%, 40대 45% 불과 … 60대 이상 80% 인지율과 대조적

젊은 고혈압일 때 치료 더 효과적… 약 대신 생활요법으로 낮출 수도

30대 젊은 층은 고혈압이 생겨도 별문제가 없을 것으로 여겨 고혈압을 인지하는 비율이 19.8%에 불과한 실정이다. 게티이미지뱅크
30대 젊은 층은 고혈압이 생겨도 별문제가 없을 것으로 여겨 고혈압을 인지하는 비율이 19.8%에 불과한 실정이다. 게티이미지뱅크

30~40대 젊은 고혈압 환자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에 따르면 30대 젊은 고혈압 환자의 절반 이상이 고혈압 진단을 받지 않았다. 30대 젊은 고혈압 환자의 인지율ㆍ치료율ㆍ조절률은 각각 19.8%, 16.9%, 12.3%로 10%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40대의 경우 고혈압 인지율이 2007~2009년 47.7%에서 2016~2018년 44.8%로 오히려 줄었고 치료율은 38.8%에서 38.2%로, 조절률도 27.9%에서 29.1%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편욱범 대한고혈압학회 이사장(이대 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은 “젊은 층의 고혈압 관리와 치료의 사각지대가 넓고 심각하다”며 “특히 10%에 불과한 인지율로 인해 혈압약을 먹는 치료율이나 목표 혈압으로 떨어뜨리는 조절률이 떨어지고 시기도 늦어져 문제”라고 지적했다.

반면 60대 이상 고혈압 환자는 대부분 고혈압 진단을 받아서 80% 이상이 자신이 고혈압인 것을 알고 있고, 치료율ㆍ조절률도 60~80%대로 높다. 이처럼 고령층의 고혈압 관리는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특히 70세 이상의 경우 고혈압 인지율은 2007~2009년 77.6%에서 2016~2018년에는 87.6%로 향상됐다. 같은 기간 치료율은 73.5%에서 84.5%로, 조절률은 49.4%에서 60.3%로 좋아졌다.

◇젊은 고혈압, 치료 효과 더 좋아

30~40대 고혈압 환자들이 자신이 고혈압인지 잘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우선 고혈압이 별다른 증상이 없는 데다 고혈압이어도 별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혈압은 방치하면 동맥경화ㆍ뇌졸중 같은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져 목숨을 위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혈압ㆍ심뇌혈관질환 가족력이 있고, 흡연ㆍ비만ㆍ이상지질혈증 등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있다면 더 조심해야 한다.

원인도 모르고 증상도 없는 고혈압이 위험한 것은 합병증 때문이다. 높은 혈압은 심장에 부담을 주고 이를 견디기 위해 심장 벽이 두꺼워지고 커져 심부전으로 악화될 수 있다. 또한 높은 혈압으로 혈관이 손상되면 동맥경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국내의 3대 사망 원인인 암ㆍ심장ㆍ뇌혈관 질환 가운데 두 가지가 고혈압으로 인해 생길 수도 있다. 고혈압이 ‘침묵의 살인자(silent killer)’로 불리고 세계보건기구(WHO)가 꼽은 전 세계 사망 위험 요인 1위인 이유다.

한편 고혈압을 치료하면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이 줄어드는 효과가 젊은 고혈압에서 더욱 좋다. 김현창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역학 연구 결과, 수축기(최고) 혈압이 20㎜Hg 낮아지면 70대에서는 뇌졸중 사망률이 50%, 관상동맥질환 사망률이 40% 줄어들지만 40대에서는 뇌졸중 사망률이 64%, 관상동맥질환사망률이 51%까지 감소한다”고 했다.

손일석 대한고혈압학회 홍보이사(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적지 않은 젊은 고혈압 환자들이 혈압약을 한번 복용하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두려움 때문으로 혈압약 먹기를 꺼리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고혈압이라고 해도 반드시 혈압약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상 혈압(120/80㎎Hg 미만)과 고혈압(140/90㎎Hg 이상)의 중간 단계에 있으면 소금 섭취를 줄이고 체중 조절과 금연 등 생활습관을 관리해 혈압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심장 비대나 심부전·콩팥병처럼 고혈압에 의한 심한 합병증이 있다면 약을 먹어야 한다. 생활요법을 잘하면 혈압을 추가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어 약 복용량을 줄일 수 있다.

◇2021년부터 수은혈압계 퇴출

고혈압을 치료하자면 먼저 자신이 고혈압(수축기/이완기 혈압 140/90㎜Hg 이상) 인지 알기 위해 평소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정용 혈압계를 이용해 아침에 일어났을 때와 잠자기 전 등 하루 2회씩 혈압을 측정하는 게 좋다.

손일석 대한고혈압학회 홍보이사는 “실제 고혈압 환자 가운데 진료실과 가정에서 혈압 차이가 클 때가 있어 가정 혈압을 잘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 혈압이 꾸준히 135/85㎎Hg를 넘는다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편욱범 대한고혈압학회 이사장은 “가정 내 혈압계 보급률이 일본은 60~70%나 되지만 우리나라는 20% 정도에 불과하다”며 “집마다 혈압계를 갖춰 평소에 혈압 측정을 생활화해야 할 때”라고 했다.

한편 내년부터 그 동안 혈압 측정에 주로 쓰이던 수은 혈압계가 퇴출된다. 2017년 8월 발효된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에 우리나라가 지난해 비준함으로써 내년부터 수은 혈압계가 퇴출된다.

이에 따라 전자 혈압계ㆍ아네로이드 혈압계ㆍ하이브리드 혈압계로만 혈압을 재게 된다. 그런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의료융합측정표준센터 조사(2013년)에 따르면 이들 세 가지 타입 혈압계의 정확도를 테스트한 결과, 부적합률이 아네로이드 혈압계가 18.2%, 수은 혈압계 7.3%, 전자 혈압계 4%로 나타나 전자 혈압계가 가장 정확했다. 다른 나라에서도 전자 혈압계를 임상연구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전자 혈압계는 소리가 아니라 혈관 진동을 이용해 혈압치를 산출한다. 혈관 진동은 커프의 감압 과정에서 급격히 커진 뒤 점점 작아진다. 전자 혈압계의 압력 센서가 이 같은 혈관 진동의 변화를 알아내 혈압을 산출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고혈압 예방 생활수칙>

-음식은 지방질을 줄이고 채소를 많이 섭취하며 싱겁게 골고루 먹는다.

-매일 30분 이상 적절히 운동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한다.

-담배를 끊고 술은 삼간다.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한다.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혈압이 높으면 의사 진찰을 받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