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일자리, 지역에서 앞장섭니다] <14> 전북 군산형 일자리
전북도와 정부의 주도로 새만금과 군산에 전기차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 모델이 지난달 16일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공장 신축에 들어갔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한국지엠 군산공장 등 두 개의 대기업이 빠져 나간 군산의 산업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높다.
군산형 일자리 참여기업은 에디슨모터스ㆍ대창모터스ㆍ엠피에스코리아ㆍ코스텍ㆍ명신 등 5개 업체다. 전북도는 지난해 10월 24일 이들 기업과 군산시, 노동계, 시민단체 등 지역 노ㆍ사ㆍ민ㆍ정 대표들과 새만금 전기차 클러스터 조성, 공동 인재 양성, 수평적 거래협약 등을 내용으로 동반성장 상생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들 기업은 2022년까지 4,122억원을 투자, 전기차 17만7,000여대를 생산하고 1,900여명을 고용한다. 옛 한국지엠 군산공장(129만㎡)에는 2,675억원을 투입해 전기차를 생산한다. 새만금산업단지 제1공구 39만㎡에는 1,447억원을 들여 기업별로 전기차 생산라인을 만든다. 기업들은 각각 장점이 있는 전기버스, 전기트럭, 배달형 전기차, 골프 카트 등을 만들어낸다.
전북도는 이를 통해 군산을 전기차 생산 중심지로 만들 계획이다. 군산이 오래 전부터 자동차 산업이 발달해 800개의 부품업체와 10여개의 연구기관이 있고 숙련된 노동자가 많아 이를 활용하면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새만금 주행시험장, 전기자율차 테스트베드 등 기반시설이 집적돼 있고 새만금 신항만, 공항과 같은 최적의 물류 및 수출 인프라를 갖추게 되는 것도 강점이다.
군산형 일자리는 문재인 정부의 여섯 번째 ‘상생형 지역 일자리’다. 대기업이 떠난 자리에 지역 노사민정의 대타협으로 중소기업이 나서 더 큰 성과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처음엔 중소기업들로 구성돼 자본 규모, 기술력, 실제 투자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수차례 공론화 과정과 사업설명을 통해 이를 불식시키고 성과를 이뤄냈다.
그동안 군산은 2017년 7월과 2018년 5월 두 대기업이 연이어 철수한 뒤 도시 전체가 동력을 잃었다. 총 1만2,072명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실업률은 2016년 1.6%에서 2018년 3.2%로 치솟았다. 고용률은 55.1%에 53.1%(전국 최하 2위)로 추락했다. 인구는 2016년 27만7,551명에서 2018년 27만2,645명으로 5,000명 가까이 빠져나갔다. 고용산업위기지역으로 지정된 뒤에도 전국 최하위 수준까지 떨어진 군산의 고용상황은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고용위기 타개를 위해 추진한 사업이 바로 군산형 일자리다. 중소기업과 노동자가 주축이 돼 원ㆍ하청 및 지역을 함께 살리자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특히 장기 실업과 경기침체, 부동산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최악의 시름을 겪었던 군산시민들은 군산형 일자리가 새 성장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감에 부풀었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올해 상반기까지 군산형 일자리의 상생협의회 조직화와 선진임금제도 도입, 수평적 계열화 방안 등에 대한 컨설팅, 완성차 업체 자체 플랫폼 구축 및 부품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등 후속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신원식 전북도 일자리경제정책관은 “군산형 일자리는 대기업이 빠져나간 위기를 딛고 중견벤처기업들이 힘을 모아 더 큰 가치를 만들어 냈다는데 의미가 크다”며 “전북은 전기ㆍ수소차 중심의 미래 친환경 상용차 산업을 새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고, 이번 모델을 반드시 성공시켜 잃어버린 일자리를 회복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고 말했다.
전주=하태민 기자 hamo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