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은 對中 봉쇄조치 강화… 일각선 WHO 무용론 제기
세계보건기구(WHO)가 발열ㆍ기침 증상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 의심환자 분류 기준을 2주 내 중국 후베이성 우한 체류에서 중국 전역으로 뒤늦게 확대했다. 이미 중국 본토 전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한 지 한참 지난 터라 비상사태 선포와 마찬가지로 ‘뒷북 조치’라는 비판이 나온다.
1일(현지시간)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WHO는 전날 신종 코로나 의심환자 분류 기준을 ‘심한 급성 호흡기 감염(발열ㆍ기침 및 입원이 필요한 환자)이 있고 증상 발병 전 14일 동안의 임상증상과 중국 내 여행ㆍ체류 기록이 있는 환자’로 수정했다. 지난달 21일 ‘후베이성 우한시 또는 우한시의 살아있는 동물시장’으로 한정했던 의심환자의 체류 지역을 중국 전역으로 넓힌 것이다. 신종 코로나가 중국 전역으로 퍼진 상황을 고려한 조치로 볼 수 있다. 각국은 이를 참고해 격리나 관리ㆍ치료가 필요한 ‘의심환자’ 분류 대책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WHO의 이번 조치도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후베이성을 제외한 중국 내 다른 지역의 확진자 수가 이미 5,000명에 달하기 때문이다. WHO의 설립 취지나 운용 원칙을 감안할 때 WHO의 조치나 규정이 각국의 기준이 되어야 하지만, 사실 상당수 국가들은 의심환자 격리ㆍ추적 등에서 이미 강화된 자체 기준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는 상태다. 일각에서 ‘WHO 무용론’까지 나오는 이유다.
앞서 지난달 30일 WHO가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을 때도 비슷한 논란이 있었다. 확진자가 중국에서만 1만명에 육박하는데다 아프리카와 남미를 제외한 세계 각국으로 퍼진 뒤에야 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도 정작 중국에 대한 여행ㆍ교역 제한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천명했기 때문이다. 당시엔 WHO에 10조원이 넘는 거금을 지원하는 중국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왔다.
마찬가지로 WHO가 중국 여행과 교역 문제에 관대한 것과 달리 세계 각국은 대(對)중국 봉쇄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정치적 이유로 WHO의 판단력이 마비됐다”(아미르 아타란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는 등의 비판이 거세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