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은 24일 중국 청두(成都)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 결과와 관련해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지만 대화를 계속하기로 하면서 양국관계 악화를 일단 멈추었다는 점에서 긍정 평가했다.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전망은 불투명하지만 양국 정상이 더 이상의 갈등을 피하면서 상황 관리에 나섰다는 평가가 다수였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25일 “두 나라의 정상이 약 1년 3개월 만에 열린 회담에서 향후 협의를 계속하기로 의견이 일치했다”면서도 “관계 악화에 일정 정도 제동을 걸었지만 ‘구 한반도 출신 노동자(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를 둘러싼 이견은 좁혀지지 않아 현안 해결의 어려움이 다시 부각됐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이어 “일본 정부는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 일절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며 “아베 총리는 자신의 정치생명을 걸었던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문재인 정권에서 뒤집은 것에 강한 불신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한국 측이 (강제동원 배상) 문제 해결에 주체적으로 나서지 않는 한 향후 한일관계의 개선은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두 정상이 관계 개선을 향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협의를 계속하는 것에는 일치했다”며 “다만 양측의 주장에 차이가 있어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활로는 찾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본 측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일본 기업의 자산 현금화”라며 “문재인 정권도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론 동향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또 “아베 총리도 한국 총선 결과를 확인하고 싶은 게 아니냐. 4월까지는 관계가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국면이 지속될 것”이란 한국 정부 관계자의 전망을 소개했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한일이 대화노선에 발걸음을 뗀 배경에는 양측의 국내사정이 어른거리지만 대립의 근본원인인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향한 전망은 찾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한일갈등이 일본에서 외교ㆍ안보 분야 외에 일본의 대한(對韓) 수출액 감소, 방일 한국인 급감 등 일본 경제에 대한 영향이 심각하고 한미일 안보협력을 중시하는 미국이 지난 6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일본이 한국과 대화하지 않은 것을 문제 삼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에 대해 “일본이 대화에 열려 있다는 자세를 보이기 위한 것”이라는 외무성 간부의 견해를 전했다. 다른 일본 정부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는 최소한의 신뢰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이 요구하는 수출규제 철회와 관련해 “상대국과 협의해 결정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는 주장을 고수하며 강제동원 문제와 세트로 논의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京制)신문은 “협의를 계속한다는 방침에는 일치했지만 관계 악화의 발단인 강제동원 문제의 해결책은 전망할 수 없다”며 “(한일관계를) 정상궤도로 되돌리기까지는 아직 길이 멀다”고 전했다. 도쿄(東京)신문도 “대화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는 점에서 회담 자체가 성과라고 하지만 양국 관계를 개선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 드러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아베 총리는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 한국 측에 책임으로 시정할 것을 강하게 요구한 반면 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의 철회를 요구하면서 대화가 서로 맞물리지 않았다”며 “문 대통령이 국내 (여론을 향한) 어필에 철저한 투철한 인상도 있어 한일관계의 겨울이 지속될 것임을 내비쳤다”고 부정적으로 해석했다.
도쿄=김회경 특파원 herm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