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온라인 거래, 현금 없는 사회… 확 늘어난 지폐 수명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온라인 거래, 현금 없는 사회… 확 늘어난 지폐 수명

입력
2019.11.26 12:01
0 0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 자료=한국은행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 자료=한국은행

우리나라 지폐의 수명이 1년 새 최장 6개월,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신용카드에 이어 최근엔 간편결제 사용도 활성화되면서 현금 거래 빈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번에 처음 측정된 5만원권의 수명은 13년 6개월로, 주요국 최고액권과 비교하면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를 발표했다. 은행권(지폐) 유통수명은 한은에서 발행된 신권이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사용 불가 수준으로 손상돼 한은에 도로 환수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뜻한다. 수명 추정은 현재 유통되는 지폐 4종(1,000원 5,000원 1만원 5만원) 중 일부를 표본으로 골라 자동정사기 등을 활용해 유통기간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폐 수명을 권종별로 보면 1,000원권 53개월, 5,000원권 49개월, 1만원 127개월, 5만원권 162개월로 각각 추정됐다. 저액권(1,000원 5,000원)은 물품 및 서비스 거래에 자주 쓰이다 보니, 예비용 현금으로 보관되는 경우가 많은 고액권에 비해 유통기간이 짧다는 것이 한은의 분석이다. 실제 한은의 2017년 기준 조사에 따르면 현금 사용 비중은 구매액 1만원 미만(76.7%)일 때 비약적으로 높았고, 5만원 이상이면 10~20%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통계와 비교하면 5,000원권과 1만원권 수명이 각각 6개월 늘었고 1,000원권도 1개월 증가했다. 한은은 △비현금 지급수단 활성화에 따른 현금 이용 감소 △국민들의 화폐 이용 습관 개선을 주요인으로 꼽았다. 이번과 같은 표본 추출 방식을 처음 택했던 2001년과 비교하면 지폐 수명 연장은 두드러진다. 1,000원권과 5,000원권 수명은 각각 24개월, 1만원권은 48개월에 불과했던 당시와 비교하면 지폐 수명이 최소 2배(5,000원권), 최대 2.6배(1만원)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 분석 대상에서 빠졌던 5만원권 수명은 162개월로 가장 길었다. 최고액권인 5만원권을 현금 보유 용도로 쓰는 경향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한은의 지난해 기준 조사에선 개인의 경우 5만원권의 80%가량을 예비용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주요국 7곳(미국 유로존 영국 호주 일본 스위스 멕시코)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지폐 수명은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액권(1,000원)은 미국(1달러, 70개월)과 호주(5달러, 68개월)에 이어 세 번째로 길었고, 중간액권(1만원)은 호주(20달러, 134개월)에 이어 두 번째였다. 최고액권(5만원) 수명은 영국(50파운드, 492개월), 호주(100달러, 330개월), 유로존(500유로, 235개월), 미국(100달러, 180개월)보다 짧았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