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삶과 문화] 세상의 모든 윤희에게

입력
2019.11.20 04:40
31면
0 0
영화는 영화 속 한 명의 ‘윤희’가 겪는 소수자의 삶, 첫사랑의 절절함을 말하려 하던 것이 전부는 아닐지 모릅니다. 오히려 달아나고픈, 외면하고픈 내 모습을 지닌 ‘세상 모든 윤희들’에게 말 한 마디를 건네고 싶었던 것일지 모릅니다. 영화 ‘윤희에게’ 스틸 이미지. (주)리틀빅픽처스 제공
영화는 영화 속 한 명의 ‘윤희’가 겪는 소수자의 삶, 첫사랑의 절절함을 말하려 하던 것이 전부는 아닐지 모릅니다. 오히려 달아나고픈, 외면하고픈 내 모습을 지닌 ‘세상 모든 윤희들’에게 말 한 마디를 건네고 싶었던 것일지 모릅니다. 영화 ‘윤희에게’ 스틸 이미지. (주)리틀빅픽처스 제공

부쩍 흰머리가 늘었습니다. 뽑다 보니 100개가 넘었습니다. 어머니가 족집게를 빼앗으며 말씀하시더군요. “탈모도 있으면서! 차라리 염색 시작해.” 저는 항변했지요. “그거 하면 쭉 해야 한다며... 그러기엔 난 너무 어려!” 엄마는 촌철살인 한마디를 남기며 주방으로 떠나셨지요. “어이구, 그 나이가?”

거울을 보니 확실히 어리지는 않더군요. 아니, 사실은 알고 있었습니다. 어리기는커녕 법적 ‘청년’도 이젠 지났다는 걸요. 아직은 받아들이지 못하고 외면했던 거지요. 그래서인지 ‘나이듦에 담담한’ 사람에 대한 동경이 있었습니다. 김희애 배우도 그중 한 명입니다. 오랜만에 그녀의 주연작이 개봉됐다기에, 흰머리를 대충 정리하고 영화관으로 향했지요.

김희애, 김소혜 주연의 영화 ‘윤희에게’는 슬쩍 보면, 90년대 ‘러브레터’를 연상시키는 작품입니다. 엄마의 첫사랑이 보낸 편지를 몰래 본 딸 새봄이, 엄마 윤희와 함께 첫사랑을 찾아 이국의 설원 마을을 걷는 이야기입니다. 잔잔하면서 예측 가능한 스토리였지만,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이 있었습니다. 엄마의 첫사랑 역인 주연 ‘남우’가 없는 거 아니겠어요? 궁금함을 참을 수 없어, 인터뷰를 찾아보기 시작했지요.

그런데 김희애 배우는 한 언론 인터뷰에서 “소수자를 다룬 이야기”라고 말했더군요. 위키백과에도 퀴어 영화로 분류가 되었고요. ‘여배우’ 중에 첫사랑이 있던 셈입니다. 저는 살짝 고민했습니다. 아무리 기사에 다 나온다 해도 꽤 중요한 반전일 텐데, 이미 알아버려 지루하려나? 하지만 영화를 다 보고 나니, 그 부분은 반전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진짜 반전은 퀴어 영화인 줄 알고 봤더니, 핵심은 그게 아니라는 점이었습니다.

이 작품을 처음 보면 스토리의 큰 줄기가 레즈비언의 굴곡진 삶과, 모녀의 화해인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소재’이지, ‘주제’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런저런 장면들을 보며, 어쩌면 진짜 주제는 ‘삶의 의미를 잃어버린 채, 텅 빈 마음으로 하루를 버텨내며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가 ‘윤희’이며, 그들에게 건네고픈 어떤 메시지일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혼과 재혼, 그 사이에 놓인 자녀의 복잡한 마음들을 그려낸 점도 그렇고요. 정당하게 모은 연차 며칠을 쓰겠다는 말 한마디에 너무 쉽게 해고를 강요받는 장면,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아무렇지 않게 언어 폭력을 자행하는 형제들. 그들에게 끝내 절연을 선언하는 장면도 그렇습니다. 단 한 번도 서로를 안아 보지 않았던 가족이 생애 첫 포옹을 하며 어색함을 느끼는 모습은 현재진행형의 우리 가족이더군요. 이렇게 영화는 스토리 내내, 성 정체성과는 무관하게 관객 모두에게도 한 번쯤 스쳐 갔을 법한 삶의 장면들을 담담히 그려냅니다.

혹시 여러분에게도 그런 순간이 있으셨나요? 가족이 주는 상처, 사랑의 실패, 일자리의 불안정, 나이가 들며 자연스레 포기한 나의 가능성. 그 모든 것들이 뒤섞여버린 순간 말입니다. 혹시 그런 때 거울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동자가 텅 비어 있는 것 같지는 않던가요? 영화 초반 윤희의 눈빛처럼 말입니다. 러닝타임 내내 한 번도 웃지 않던 윤희는, 마지막 장면에서야 처음으로 웃음 짓습니다. 평생 외면하려 애썼던, 가장 숨기고픈 자신의 모습을 직면한 뒤에야 말이지요.

결국 영화는 영화 속 한 명의 ‘윤희’가 겪는 소수자의 삶, 첫사랑의 절절함을 말하려 하던 것이 전부는 아닐지 모릅니다. 오히려 달아나고픈, 외면하고픈 내 모습을 지닌 ‘세상 모든 윤희들’에게 말 한마디를 건네고 싶었던 것일지 모릅니다. 영화 속 윤희처럼, 당신도 마주할 용기를 가졌으면 한다고, 되레 그 직면이 당신을 다시 빛나게 할지 모른다는 말을요.

장재열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