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 감소했다. 특히 보험영업손실이 지난해의 2배로 뛰었다.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 상품의 보험금 지출이 늘고, 치매보험 등 여타 장기보험은 경쟁 격화로 사업비 지출이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2일 금융감독원의 잠정 집계 결과에 따르면 손보사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조4,85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2조1,069억원)에 비해 6,219억원(29.5%) 감소했다. 투자영업이익은 채권 이자수익과 배당수익 등의 증가로 6.4% 늘었지만, 보험영업 부분의 손실이 전년 동기(1조1,132억원)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2조2,585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이익 규모를 줄였다.
금감원과 보험업계는 손보사의 보험영업 손실이 늘어난 원인을 자동차보험과 실손보험의 손해율 악화, 치매보험 등 장기 보장성보험 시장의 경쟁 격화에서 찾았다. 실손보험과 치매보험이 포함된 장기보험은 2조1,263억원 손실을 봤는데, 판매사업비(5,546억원)가 9.8%, 손해액(7,983억원)이 3.6% 각각 늘어난 영향이 컸다. 보장성보험의 보험료 수입(+1조939억원) 자체는 늘어났지만 판매 경쟁 및 손해율 악화로 수익성이 나빠진 셈이다.
자동차보험도 지난해 상반기 31억원이던 손실이 4,184억원으로 불어났다. 자보료 인하 영향을 받은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자보료를 인상해 보험료 수입이 2,201억원 증가했음에도 적자 폭은 오히려 커졌다. 정비요금 인상 등으로 원가가 올랐는데 보험료 인상분이 이를 따라가지 못한 것으로 해석됐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실적 압력 때문에 시장 점유율을 두고 보험사들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며 “자동차보험과 실손보험은 보험료 인상이 어려운 상품 특성상 하반기에도 손실을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동차보험료는 올해 1월과 6월 두 차례 인상했기 때문에 연내 추가 인상은 어렵다는 전망이 강하다. 실손보험 역시 ‘문재인케어’ 즉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로 인한 실손보험의 반사 이익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반영돼 보험료 인상폭을 제한할 가능성이 크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