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포항에서 일어난 규모 5.4 지진의 원인으로 지목된 포항지열발전소 지하에 미세한 지진을 감지하고 지하수위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장비가 설치된다. 장비 설치와 데이터 분석 등에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10억원이 투입된다.
포항지열발전소 부지의 안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지난 5월 출범한 ‘포항 지열발전 부지안전성 검토 태스크포스(TF)’는 13일 오후 경북 포항시청에서 중간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시민들에게 발표했다.
TF와 기상청에 따르면 규모 5.4의 포항지진(본진) 발생 이후 지난해 2월 규모 4.6을 비롯해 규모 2.0이 넘는 여진이 총 100회 일어났다. 이는 모두 지난해 4월 이전에 집중돼 있고, 발생 빈도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미소지진을 포함한 여진 발생 횟수도 2017년 11월 2,400여회에서 올해 4월 30회로 뚜렷하게 줄었다. 그러나 TF는 여진들의 진원 분포가 다소 확대돼왔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본진 진원지 기준 남서쪽 방향으로 장축 5~6㎞의 타원형으로 여진들의 진원이 퍼져 있다는 설명이다.
지열발전 연구를 위해 파놓은 지열정의 지하수위도 이례적이다. TF에 따르면 이 지역 지하로 구멍을 뚫으면 대개 지하 50~100m 깊이에서 물이 고인다. 그런데 지열정 2개 중 하나는 700m 넘게 더 내려가야 지하수가 나온다. 이 때문에 두 지열정의 지하수위 차이가 600m에 이른다. TF를 총괄하는 이강근(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위원장은 “지진 때문에 지열정 일부가 깨져 지하수가 빠져 나갔거나 지하수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혔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큰 지진을 겪은 지열발전소 부지의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진원 분포와 지하수위 변화를 추적할 필요가 있다. 이에 TF는 지열정 내부에 잡신호 없이 극미소지진까지 관측할 수 있는 심부 지진계와 지하수위와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은 “향후 지진과 지하수 관측 데이터를 포항시와 공유하고 포항시민의 의견도 적극 수렴하겠다”고 약속했다.
TF는 국내 전문가 10인, 해외 전문가 3인, 시민대표(포항시 추천) 3인으로 구성됐으며, 3억원을 들여 오는 11월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부지 안정화를 어느 정도 확신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이 좀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활동 연장을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