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100여명 기술자문단 꾸려… 전화나 우편 접수하면 연결해줘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 제외 조치로 국내 주요 산업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전ㆍ현직 카이스트(KAIST) 교수 100여명이 나섰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ㆍ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다른 과학기술원은 물론,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도 추진할 계획이어서 일본의 경제 보복에 맞선 과학기술인의 협력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카이스트는 반도체ㆍ에너지ㆍ자동차 등 주요산업 분야 핵심소재ㆍ부품ㆍ장비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카이스트 소재ㆍ부품ㆍ장비 기술자문단(KAMP)’을 운영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자문 대상은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면서 수출 규제 영향권에 들어간 1,194개 품목 중 주력 산업 공급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159개 품목이다. 이들 소재ㆍ품목을 쓰거나, 공급하는 중견ㆍ중소기업이 원천기술 개발 과정에서 부딪히게 될 기술적 문제를 해결ㆍ지원하는 게 기술자문단의 역할이다.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은 “과거 무력이 주도하던 시대엔 군인이 나라를 지키는 전사였지만 4차 산업혁명과 기술패권의 시대에선 과학기술인이 나라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119 기술구급대’로 나서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전위대 역할을 해야 한다”며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역할도 강조했다.
기술자문단은 △첨단소재분과(팀장 이혁모 신소재공학과장) △화학ㆍ생물분과(팀장 이영민 화학과장) △화공ㆍ장비분과(팀장 이재우 생명화학공학과장) △전자ㆍ컴퓨터분과(팀장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기계ㆍ항공분과(팀장 이두용 기계공학과장) 등으로 이뤄졌으며, 분과장은 해당 전공 학과장이 맡았다. 분과마다 관련 분야 전ㆍ현직 카이스트 교수 20여명이 참여한다. 자문단장은 최성율 공대 부학장(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이 맡았다.
카이스트는 기술자문단 운영을 위해 이날 전담 접수처도 개설했다. 중소ㆍ중견기업의 자문 요청이 오면 해당 분과에서 담당 교수를 지정, 기술 개발에 따른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기업 현황을 분석해 연구개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자문단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향후 운영 성과를 보고 기술자문단의 지원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최성율 단장은 “전 세계의 산업구조는 원천 소재와 중간재, 완제품 제작 등 각 생산단계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업이나 국가가 해당 단계를 책임지는 국제적 분업형태였다”며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로 전략기술을 확보해둬야 한다는 필요성이 커지면서 교수들이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다른 과학기술원과의 협력 체계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신 총장은 “산학협력단 등 관련 조직과 기술자문단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와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 한국이 핵심소재ㆍ부품ㆍ장비 분야의 기술독립국으로 가는 기반을 닦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술자문을 희망하는 중견ㆍ중소기업은 기술자문 전담접수처(042-350-6119)로 직접 문의하거나 전자우편(smbrnd@kaist.ac.kr)으로 신청하면 된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