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농촌 지역 주민 무려 절반이 안전한 식수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국제아동긴급기금(유니세프: UNICEF)이 지난 13일(현지시간) 공동관리사업으로 함께 발간한 ‘2000-2017년 가정용 식수와 위생시설, 위생의 진전’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안전하게 관리된’ 식수를 사용하는 인구의 비율이 2000년 69%에서 2017년 67%로 줄어들었다.
평양을 포함한 도시에서는 2017년 기준 인구 77%가 안전한 식수를 접할 수 있었으나 농촌 지역은 50%에 그쳐 북한 당국의 도시 우선 차별 정책에 따른 도농 격차를 뚜렷하게 보여줬다.
보고서는 도시와 농촌 모두 안전한 식수 공급률이 2000년 대비 2~5% 감소됐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 당국이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핵 미사일 프로그램을 강행함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역시 갈수록 강화돼 2000년에서 2017년 사이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에 대한 관심 및 기부가 급감한 결과 영향으로 풀이된다.
보고서가 가장 기본적인 식수 설비라고 설명한 수도관의 경우 2000년 도시와 농촌을 합해 91%의 설치율을 보였지만 2017년에는 68%로 크게 줄었다.
보고서는 이외에도 북한은 배설물을 적절히 처리하지 않고 바로 비료로 사용하고 있어 상황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깨끗한 식수는 사람의 건강 유지에 필수이며 생명 보존과 직결된다.
유니세프는 1946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기아와 질병에 지친 아동을 구제하기 위한 긴급원조계획으로 발족해 1953년 유엔 상설기관이 됐으며 ‘차별 없는 구호’의 기치 아래 2차 대전의 승전국과 패전국, 동유럽과 중국, 한국의 어린아이들에게도 도움을 주었다.
유니세프는 북한에서 90년대 이후 이어지는 식량부족 현상에 어린이들이 심각한 영향을 받자 본격적인 대북 지원에 나섰으며 현재 평양에 북한 사무소를 두고 의료장비와 의약품, 식수개발과 교육 등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뉴욕(유엔본부)=신용일 객원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